
금융위원회는 17일 금융투자협회, 주요 증권사들과 금투세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듣기 위한 업계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한국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권, 대신증권, 신영증권, 한화투자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등 7개 증권업계 리서치·세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2023년부터 대주주 여부와 상관없이 주식 등 금융상품으로 5000만원이 넘는 소득을 얻으면 세금을 매기는 금투세가 도입된다. 5000만원 이상이면 20%, 3억 초과분에 25%의 세율을 적용받는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현재 주식시장 거래가 위축된 상황에서 금투세 전면 도입이 시장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실제 과세부담 여부와 관계없이 과세부담 가능성이 발생하는 것만으로도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금투세로 인해 세후 수익률이 낮아지는 만큼 우리 증시 거래가 크게 위축될 것"이라며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투자가 일반화돼 있는 만큼 우리 증시가 해외 투자에 비해 매력이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납세자·투자자들의 세제 관련 예측 가능성이 떨어지고 현장에서의 세제 집행 관련 준비가 필요하단 지적도 나왔다. 올해가 한 달여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세제 도입, 시행 여부가 결정되는 것 자체가 납세자의 예측 가능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시장 혼란을 초래해 납세자 주권이 침해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증권사 관계자는 "충분한 사전 설명 등의 시간이 없으면 새로운 세금에 대한 투자자들의 조세 저항도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윤수 금융위 자본시장정책관은 "주요국 통화 긴축, 경기침체 우려, 인플레이션 등 주식시장 상황이 여의치 않다"며 "현재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금투세를 당장 시행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 정책관은 "국회에서 논의를 거쳐 금투세 도입을 유예하는 법안을 통과해주면 그 기간 동안 일반투자자 보호 강화, 글로벌 투자자금 유입 확대 등 제도적 조치를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물적분할 반대 주주연합은 지난 16일 금투세 유예를 요청하는 서한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보내는 등 집단 행동에 나섰다. 이상목 물적분할 반대 주주연합 대표는 "금투세는 이른바 '큰손' 투자자들의 주식시장 이탈을 야기해 주식시장 붕괴의 단초를 제공하고 외국인에겐 비과세 혜택을 주는 등 비형평성 문제를 야기해 국내 주식시장의 장애물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물적분할 반대 주주연합은 DB하이텍, 풍산, 한국조선해양, SK이노베이션, 후성, 카카오게임즈, NHN, 현대모비스 주주 약 2500명이 모인 소액주주연대로 물적분할 반대, 자회사 중복상장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달 22일 설립된 법인 단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