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수소버스·트럭 3만대 달린다"…尹정부 수소정책 보니

머니투데이 세종=김훈남 기자 2022.11.09 18:00
글자크기
친환경 수소버스가 2020년 12월 서울 도심 일대에서 운행되고 있다. 서울시는 이날부터 시내버스 정규노선 370번(강동공영차고지~충정로역)에 수소버스를 도입해 이날부터 운행을 시작하며, 2025년까지 수소버스를 1000대 수준으로 늘리고 11개소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사진=이기범 기자 leekb@친환경 수소버스가 2020년 12월 서울 도심 일대에서 운행되고 있다. 서울시는 이날부터 시내버스 정규노선 370번(강동공영차고지~충정로역)에 수소버스를 도입해 이날부터 운행을 시작하며, 2025년까지 수소버스를 1000대 수준으로 늘리고 11개소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정부가 2030년 버스와 트럭 등 수소연료전지 상용차 3만대와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 보급 등 목표를 내걸고 본격적인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지난 정부에서 수소경제 조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다졌다면 새 정부는 '청정 수소 공급망 구축과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을 목표로 수소 생태계에 본격 투자한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2023년 상반기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하고 2024년까지 청정수소 정의를 규정한 한국형 청정수소 인증제를 도입하는 등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정부는 9일 오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수소경제위원회는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수소경제위원회로 새 정부의 수소경제 정책방향 발표와 2기 민간위원 위촉, 민간주도 수소경제 컨트롤 타워 구성 등 안건을 논의했다.



이날 발표된 새정부 수소경제 정책방향은 △규모·범위 △인프라·제도 △산업·기술 등 3대 분야 성장전략으로 구성됐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통상자원부는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방안'과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전략'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수소기술 미래전략'을 발표했다.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방안'을 살펴보면 정부는 우선 2030년까지 수소상용차 3만대 보급 목표를 내걸었다. 올해 기준 버스와 트럭 등 수소상용차 보급 대수 221대에서 13배 이상 상용차 시장을 키우겠다는 의미다.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한덕수(왼쪽 여섯번째) 국무총리가 9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2.11.09.[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한덕수(왼쪽 여섯번째) 국무총리가 9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2.11.09.
정부는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확정 과정에서 이 같은 목표를 반영할 방침이다. 버스 등 상용차 보급을 통해 일반 국민이 수소연료 기반 운송수단에 익숙해지도록 할 방침이라는 게 산업부 측의 설명이다. 수소버스에 대한 정부 보조금은 시내버스 1억5000만원, 광역버스 2억원에서 2023년부터 각각 2억1000만원, 2억6000만원 등으로 상향 조정할 예정이다.



수소상용차 보급 확대에 발맞춰 현재 기체 수소 충전소 중심의 충전시장을 확대하는 한편, 액화 수소 충전소 70개소를 보급해 수소 충전 인프라를 확충할 예정이다. 또 수소·암모니아 혼소발전 확산을 통해 청정수소를 연료로 한 발전 비중도 2022년 0%에서 2036년 7.1%로 확대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규제 개선을 통해 에너지슈퍼스테이션(석유와 전기를 모두 제공하는 미래형 주유소)의 발전원 등을 통해 연료전지 보급을 늘리고 소형 수소터빈, 수소엔진 등을 개발해 분산 자원을 다양화할 방침이다.

이같은 수소 시장 규모 확대를 통해 2030년 기준 47조10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9만8000명 고용을 창출한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또 온실가스 2800만톤을 감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연 4만톤 규모의 세계 최대 수준 액화수소 플랜트를 구축하고 2030년까지 석탄발전소 밀집 지역에 연 400만톤급 암모니아 인수기지를,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소 밀집 지역에 연 10만톤급 액화수소인수기지와 수소전용 배관망을 구축할 방침이다. 안정적인 수소의 유통과 항만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수소항만 구축전략'도 추진된다.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한덕수(왼쪽 여섯번째) 국무총리가 9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2.11.09.[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한덕수(왼쪽 여섯번째) 국무총리가 9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2.11.09.
국내외 해외에도 개규모 청정수소 생산기지와 공급망을 구축하는 한편, 온실가스 감축 목표 이행 본격화에 따라 2023년 수소발전 입찰 시장도 연다. 수소발전 입찰시장에는 한국전력과 구역전기 사업자 등이 참여해 의무 비율에 맞춰 수소발전 전기를 사들이고 RE100(기업의 사용전력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겠다는 약속) 이행을 위한 자발적 구매자들도 참여할 전망이다.

정부는 2023년까지 청정수소의 기준과 인증제 운영방안을 마련, 2024년까지 국제적으로 통용가능한 한국형 청정수소 인증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수소 단위기준 생산량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청정수소 인증의 주요 기준이 될 전망으로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 등을 통한 수소 생산이 청정수소 범위에 들어갈 전망이다.



정부는 또 '세계1등 수소산업 육성전략'을 통해 선진국 대비 75% 수준인 7대 전략 분야(수전해·액화수소 운송선·트레일러·충전소·모빌리티 연료전지·발전 연료전지·수소터빈) 기술수준을 2030년 100%로 끌어올리고 세계시장 점유율 1위 품목을 현재 2개에서 2030년 10개로 늘리기로 했다. 52개인 수소전문기업은 2030년 600개로 12배가까이 늘린다는 목표다.

김선기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은 "정부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서 수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며 "110개 국정과제 중 하나로 수소경제 조성을 제시했고, 이번 수소경제위원회를 통해 국정과제 달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