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통해 "위원회에서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발전전략과 함께 고민해 주시기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기술 패권과 디지털 전환이라는 이런 대전환의 시기에 추격을 넘어서 초격차를 만드는 국가 차원의 과학기술전략이 매우 중요하다"며 "오늘 발표하는 국가전략기술 육성 방안을 토대로 우리는 과학기술 강국으로 더 크게 발돋움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또 국가전략기술 분야 R&D(연구개발)에 향후 5년간 25조원 이상을 투자해 초일류·초격차 기술을 확보하고 민관 합동으로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를 추진해 확실한 성과를 창출해 갈 것"이라며 "국가전략기술 육성 특별법 제정 등 지속가능한 추진체계를 법제화하고, 미래를 위한 준비에 정부 역량을 집중시키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과학기술은 경제와 산업 성장의 원천이고 우리가 먹고사는 원천이 된다"며 "취임사에서도 그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우리가 잘 먹고 사는 것이, 또 제대로 공부하는 것이 우리 대한민국 국민과 세계시민의 자유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과학기술은 바로 이런 자유의 확장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를 중심으로 민관이 협력해 과학기술 선도국가의 청사진을 그려 나가기를 기대한다"며 "오늘의 논의가 국가과학기술 정책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각 부처에서도 지원체계를 강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무엇보다 현장에 계신 연구자들이 이런 자율과 창의로 마음껏 연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그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는 최상위 과학기술 정책 의사결정기구다. 새 정부 들어 처음 열린 이날 회의에선 윤 대통령이 이우일 부의장을 비롯한 민간위원 19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이날 회의에서 발표된 12대 국가전략기술은 반도체·디스플레이, 2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사용후핵연료 처분 기술 포함), 첨단 바이오, 우주 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등이다. 정부는 앞으로 12대 분야별 전략로드맵을 수립하고, 초격차 기술확보를 위해 민관합동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