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연구소 연구팀이 지구온난화로 빙하기가 촉진된다는 가설이 맞지 않다는 사실을 탐사 연구를 통해 입증했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영화는 영화일 뿐이었다. 국내 연구진이 '지구 온난화로 인류에 빙하기가 찾아온다'는 가설이 틀렸다는 사실을 최초 규명했다. 지난 30년간 북극 노르딕해의 염분 변화를 추적해 밝혀낸 연구 결과다.
바다는 하나의 거대한 컨베이어 벨트처럼 순환하며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에너지'를 보낸다. 순환의 출발점은 극지 바다로, 차가운 극지 표층의 바닷물이 가라앉아 순환을 일으키는 원리다. 바닷물이 차가워지거나 염분이 높아지면 바닷물의 밀도는 오른다.
극지연 연구팀은 이런 이론이 대양에선 그대로 나타나진 않는다고 파악했다. 인공위성 관측 자료와 현장 탐사 자료를 활용한 연구다. 특히 1991년부터 2019년까지 그린란드와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사이에 위치한 한반도 면적 12배 크기 (258만8000㎢)의 바다, 북극 노르딕해 염분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노르딕해로 유입된 담수는 다른 바다로 빠져나갔고 이는 바다의 전체 염도를 떨어뜨리고 순환 속도를 바꿀 정도로 강력하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기존 '염분이 낮아져 바닷물 밀도가 낮아져 해양 순환이 멈춘다'는 가설은 일치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또 시간이 지날수록 염분이 낮아지는 등의 특정 경향성은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 시각 인기 뉴스
다만 그린란드와 인접한 해역에선 염분 변화가 생겨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전망이다. 김현철 극지연 박사도 "이번 연구 결과를 근거로 지구 온난화가 해양 대순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면서도 "앞으로도 계속해서 지구 온난화가 가속되면, 지금과 다른 양상도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계절에 따른 노르딕해 염분 변화. 1991~2019년 평균 3월과 9월의 노르딕해 염분 분포 (A, B)와 공간 구배 (C, D). 공간 구배는 염분이 급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서로 다른 성질의 해수가 만나는 곳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 사진=극지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