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러서면 月 500억 손해…레미콘 vs 시멘트, '셧다운' 파국 피할까

머니투데이 이재윤 기자 2022.10.18 06:01
글자크기

오는 19일까지 레미콘 업계, 시멘트 제조사와 막판협상 진행 중

물러서면 月 500억 손해…레미콘 vs 시멘트, '셧다운' 파국 피할까


레미콘 업계와 시멘트 제조사가 좀처럼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면서 단가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레미콘 업계는 오는 19일까지 시멘트 제조사와 단가 협상을 마무리 짓지 못하면 '무기한 셧다운(조업중단)'에 나설 방침이다. 레미콘 공장이 멈추면 가을 건설현장 성수기에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시멘트 제조사와 협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레미콘·시멘트 업계는 단가협상 기한을 앞두고 막판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전국 900여개 제조사로 구성된 임시단체인 중소레미콘 업계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레미콘 비대위)는 단가 인상을 통보한 시멘트 제조사 5곳과 지난 7일부터 협상을 벌이고 있다. 협상은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앙회)와 동반성장위원회(이하 동반위) 중재로 진행 중이다.



핵심 쟁점은 시멘트 단가 인상시기다. 레미콘 업계는 내년 1월까지 단가인상을 미뤄 달라고 요구하는 반면, 시멘트 제조사는 원자재 가격 상승을 이유로 팽팽히 맞서고 있다. 협상을 중재하고 있는 동반위 관계자는 "다양한 조건이 많아서 결과를 예단하긴 이르다"라며 "데드라인(협상기한)이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막판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시멘트 단가 인상은 원자재 비용 급등에 따른 연쇄효과다. 시멘트 원가의 20~30%가량을 차지하는 유연탄(고효율 석탄) 국제 가격이 급등한 가운데 전기요금까지 인상됐다. 특히 원·달러 환율까지 오르면서 시멘트 제조사는 단가 인상이외에 뾰족한 방법이 없다고 토로했다. 반면 레미콘 업계는 건설사에 인상분을 청구해야 하는데 시기를 내년으로 늦춰 달라고 요구해 왔다.



서울의 한 레미콘 공장의 모습. /사진=뉴스1서울의 한 레미콘 공장의 모습. /사진=뉴스1
협상에서 논의 중인 시기는 올해 9월~내년 3월까지 7개월이다. 업계에 따르면 1개월에 레미콘·시멘트 업계가 서로 부담하게 되는 비용은 500억원 안팎으로 추산된다. 단순 계산하면 시멘트 단가 인상 시기에 따라 최대 3500억원 가량의 비용부담을 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결국 돈 문제인데, 원자재 비용부담을 누가 감당해야 하는지를 두고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레미콘 공장이 셧다운에 돌입하면 전국 건설현장도 멈춰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부분 셧다운 등도 논의 중이다. 협상을 진행 중인 시멘트 제조사 중 일부만 레미콘 업계 요구를 받아들이는 대신, 일부만 셧다운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시멘트 제조사 중에서도 단가 인상 시기를 내년까지 늦출 수 있다는 곳이 2~3개 있다"고 말했다.

협상에 참여한 △한일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쌍용C&E △삼표시멘트 △성신양회 등 시멘트 제조사도 경영 상황에 따라 입장이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평균 1톤(t)당 10~15%에 이르는 단가 인상을 추진 중이지만 쌍용C&E 등 일부 업체는 다음달 1일부터 가격을 올리겠다는 입장이다.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아세아시멘트도 다음달 단가 인상을 추진 중이다.


시멘트 단가 협상과 별개로 수도권 건설현장에선 레미콘 운반차질도 우려된다. 개인 사업자로 구성된 레미콘 운송노동조합(이하 레미콘 운송노조)는 지난 8월 서울 성동구 삼표공장이 철거 되면서 광화문·종로·용산 등 주요도심 공급차질을 이유로 건설사와 논의를 진행 중이다. 당초 삼표공장은 서울 도심 레미콘의 60%가량을 공급했었다.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건설 현장 올스톱(전면 중단)과 공급 가격 인상 등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레미콘·시멘트 단가 협상을 중재하고 있는 마련한 정부도 최악의 상황은 막겠다는 각오다. 업계 관계자는 "결국 소비자 피해는 불가피 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