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500억원 누가 떠안나"…레미콘vs시멘트, 팽팽한 단가협상

머니투데이 이재윤 기자 2022.10.10 13:04
글자크기

레미콘 공장 19일까지 셧다운 연기, 시멘트 제조사와 협상계속…동반위 역할도 관건

 서울 시내 레미콘 공장 모습./사진=뉴시스 서울 시내 레미콘 공장 모습./사진=뉴시스


가까스로 전국 레미콘 공장 셧다운(조업 중단)은 피했지만, 갈등의 불씨는 남았다. 지난 7일부터 매일 협상을 진행 중인 레미콘·시멘트 업계는 단가 인상 시기를 두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이다 일단 시간을 벌기로 한 모양새다.레미콘 업계는 이달 10일로 예고됐던 셧다운을 오는 19일까지 미루고 시멘트 제조사와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

전국 900여개 제조사로 구성된 임시단체인 중소레미콘 업계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레미콘 비대위)는 셧다운을 연기하고 시멘트 제조사와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단가 인상을 추진 중인 시멘트 제조사 5곳은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앙회)와 동반성장위원회(이하 동반위) 중재로 협상을 하고 있다. 협상에는 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도 자리했다.



레미콘 셧다운이 미뤄지면서 당장 건설 현장까지 멈추는 최악의 상황을 모면했지만, 시멘트 제조사와 입장을 좁힐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지난 7월 삼표시멘트가 먼저 11.7%의 단가인상을 추진하면서 불거진 레미콘 업계와 갈등은 3개월째다. 쌍용C&E는 다음 달 1일부터 톤당 10만4800원으로 15.4% 인상키로 했고 한일시멘트와 한일현대시멘트가 15%, 성신양회도 13.5% 인상에 나섰다.레미콘 비대위는 지난 6일 25개 전국조합 이사장 회의를 열고 셧다운 결의까지 마쳤다. 결렬되면 곧바로 행동에 돌입할 태세다.

협상의 핵심 쟁점은 시멘트 단가인상 시기다. 지난 9월부터 내년 3월까지 7개월을 두고 시멘트 업계는 하루라도 빨리 올려야 한다는 입장이고, 반대로 레미콘 업계는 최대한 늦춰달라고 맞서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1개월에 드는 비용부담이 500억원 안팎이다. 단순 계산하면 시멘트 단가 인상 시기에 따라 최대 3500억원가량의 비용부담을 누군가는 떠안게 된다는 얘기다.



"月500억원 누가 떠안나"…레미콘vs시멘트, 팽팽한 단가협상
올해 2월 가격을 올린 시멘트 제조사는 지난 7월 원자재 가격 상승을 이유로 추가 단가인상에 나섰다. 이에 레미콘 업계는 셧다운을 들고 나왔다. 지난달까지 협상은 시작조차 못 했으나 레미콘 업계가 건설사 공급계약에 맞춰 내년 3월로 늦춰달라고 요구하면서 틈이 생겼다. 시멘트 업계도 한발 양보하면서 내년 1월에 단가를 올리겠다는 선까지는 진전됐다.

오는 19일까지 레미콘·시멘트 업계는 수시로 협상을 벌인다. 일부 시멘트 제조사가 레미콘 비대위와 개별 협상에 나설 수도 있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시멘트 제조사 5곳 중 한 두곳이 아주 강경한 태도를 보이면서 시기를 늦추기 어렵다고 하고 있다"며 "개별 기업마다 차이도 있어서 자주 만나 협상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협상에 참여중인 △한일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쌍용C&E △삼표시멘트 △성신양회 등 시멘트 제조사 5곳은 조금씩 입장차이를 보인다. 경영 여건에 따라 치솟은 유연탄(고효율 석탄) 가격과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을 감당할 수 있는 여건이 다르기 때문이다. 유연탄은 시멘트 원가의 20~30%를 차지한다.


정부가 얼마나 협상을 끌어낼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협상 물꼬를 마련한 동반위는 "소통이 단절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대화의 장을 마련하고 상생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