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은 "수도권의 (5G) 평균 가용률은 99%에 육박하지만 불과 4%에 그치는 곳도 있다"고 지적했다. 허 의원에 따르면, 신분당선, 서해선의 5G 가용률은 각각 3.86%와 7.62%였다. 그는 "5G가 기업의 마케팅 수단으로 전락한 것 아닌가"라고 질타했다.
이와 함께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통3사가 5G 신규 고객에게만 단말기 보조금을 주면서 어르신들도 필요 없는 5G를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5G 중계기의 높은 출력 전파로 인해 지하철 스크린도어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 38개 역사 중 78.9%(30개)"라며 "보완에 300억 원의 비용이 드는데, 이는 이통 3사에 요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민간 워킹그룹을 통해 5G 망 구축을 확대하고, 민간과 협력해 (28GHz 주파수 대역의) 응용 분야 활성화 방안도 나올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또 지하철 중계기 관련 비용에 대해서도 "이통사와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 역시 "5G 도입 초기부터 다중이 이용하는 핫스팟 지역에 대해서는 28GHz 기지국 구축을 확대해야 한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입장이었다"며 "5G 특화망 서비스를 시작으로 28GHz 주파수 대역의 가용률이 점차 올라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