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G넥스원은 1991년부터 현재까지 P-999K 무전기 생산·수출을 진행했다. 2010년 차세대 전술 다대역 다기능 무전기(TMMR)을 시작으로 통합 통신단말을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을 진행해왔다. 전술망에서 전투원 운용을 위한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MANET) 웨이브폼과 국제 표준 기반 미들웨어 플랫폼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산화 개발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다.
기존 TMMR에 광대역 웨이브폼 뿐만 아니라 협대역 웨이브폼을 적용해 전장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성능개량 장비 개발을 완료했다. LIG넥스원은 '통합 통신단말 핵심기술' 확보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국제 표준 기반 미들웨어 플랫폼을 성능 개량한 전술통신용 차세대 SCA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2016년부터 실시한 미래 전술망의 통합 네트워크 구조 선행연구를 완료하고 다양한 전장 상황에서 통신품질(QoS)을 확보하기 위한 대대급 이상 다계층 통합전송단말을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
LIG넥스원은 군 뿐만 아니라 다수의 민간 기관과 협력해 통신망 관련 사업도 진행한다. 국내 첫 5G 특화망용 '스몰셀' KC 인증을 획득한 이노와이어리스 인수를 통해 최근 민수사업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재난안전통신망 통합형 휴대단말기와 군 전용 주파수 TDD-LTE 단말기를 개발한 사이버텔브릿지, 5G 이동위성통신 가능한 시스템온칩(SoC)을 개발한 AP위성 등 5G·6G 소형·통합 단말 제작 역량을 확보한 업체와도 협력 중이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현대전에서 필수 불가결의 원칙은 끊김 없는 통신 상태 유지와 정확한 정보 전달"이라면서 "LIG넥스원의 성능이 입증된 다수 무기체계의 개발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계층 통신을 위한 통합 통신단말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어떠한 상황에서도 전투원 간 통신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