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전기버스 대항마, 수소버스 보급을" "수요 큰 수소연료전지 활성화"

머니투데이 이태성 기자 2022.09.21 15:27
글자크기

여당 산업위 소속 의원들 주최 '수소경제 활성화' 위한 토론회서 수소 활용처 확대 방안 논의

주호영 원내대표(아랫줄 가운데)  등 여당 의원들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 활용처 모색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정운천 의원실주호영 원내대표(아랫줄 가운데) 등 여당 의원들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 활용처 모색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정운천 의원실


수소 경제 초기에 들어선 우리나라는 연료전지 중심으로 초기 수소 수요를 늘려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존하는 기술 중 수소의 대량 사용이 가능한 것은 연료전지가 유일한 만큼, 이를 기반으로 한 대규모 수소 인프라 구축이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이라는 것이다.

21일 오후 1시30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는 국회 산업위 소속 정운천, 한무경(간사), 권명호,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이 공동주최하고 미래에너지정책연구원(IKEP)이 주관하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 활용처 모색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인 '세계 1등 수소산업'을 달성해 산업·경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국회·정부·민간·학계가 한자리에 모여 정책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토론회에는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이철규 의원 등 여당 의원 20여명이 참석했다.

정운천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20대 국회에서는 탄소산업을 집중 육성하였고, 21대 국회의 과제는 '수소'로 삼겠다"며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요람에서 무덤까지 챙겨보겠다. 수소를 사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조홍종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발제자로 나서 '청정수소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수소활용부문 정책 방향성 제언'을 발표했다. 조 교수는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는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소 산업이 필수"라며 "수소 수요가 없는 초기 기체수소의 유통으로 경제성을 확보했으나 규모 성장에 따라 액화 및 수소배관 중심으로 유통 인프라 구축 전환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조홍종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가 토론회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이태성기자조홍종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가 토론회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이태성기자
이어 "안정적인 수소경제 구축을 위해서는 대규모 수요창출이 무엇보다 중요하나 수소 모빌리티만으로는 규모의 경제 도달에 한계가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수소 직주입이 가능한 연료전지 보급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수소승요차는 당초 올해까지 공급 목표는 6만5000대였으나 현재 2만4492대(약 37%)밖에 공급되지 않았고, 수소버스는 목표(2000대) 대비 약 10%(190대) 공급에 그쳤다. 조 교수는 수소 연료전지가 전·후방 산업파급효과가 크고 친환경 발전원인데다가 수소경제 초기 대규모 핵심 수요처가 돼 청정수소경제로 전환을 견인할 수 있다고 봤다. 더 나아가 대규모 연료전지 보급을 통한 기술개발은 모빌티 경쟁력 및 수전해 기술력 확보까지 이어지고, 미래 청정 수소산업을 선점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조 교수는 "수소경제 초기 대규모 연료전지 발전을 확대해 수소산업의 양적 성장을 촉진해야 한다"며 "대규모 연료전지 보급을 통해 생산단가 하락을 유도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경쟁력있는 수소 모빌리티 확산이 필요하다"고 했다.

/사진=이태성기자/사진=이태성기자
조 교수의 발제 이후 전봉걸 미래에너지정책연구원(IKEP) 원장을 좌장으로 양병내 국민의힘 산업정책 수석전문위원, 문상진 두산퓨얼셀 R&D/신사업본부장, 신승규 현대자동차 수소경제TF팀 상무, 이창호 가천대학교 교수, 김선기 산업통상자원부 수소경제정책관이 토론자로 나섰다.

양 위원은 "국내 기업은 수소차와 연료전지 등 분야는 선도하고 있으나 생산 및 저장, 운송 등은 선도국 대비 열위에 있다"며 "새 정부는 생산-유통-활용 전 주기에 걸쳐 동시 생태계를 구축해야 하고 기업이 기술혁신 및 시장개척에 나설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적시 투자를 위해 민관 컨트롤 타워인 수소경제위원회 및 국회 등이 제대로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본부장은 "발전용 연료전지가 국내 수소 수요의 80% 이상을 차지하나, CHPS(청정수소 발전의무화) 제도 전환기의 불확실성으로 협력업체 대부분인 중소기업들이 운영난을 겪으며 산업생태계가 악화되고 있다"며 "연간 500MW 이상의 입찰 시장 개설로 산업생태계 '양적 확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신 상무는 현대차그룹이 수소 모빌리티 사업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그는 "현대차는 그룹차원에서 수소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노력 중이나 아직 일반 고객들의 수소 산업에 대한 수용도가 약하고 타 제품 대비 비용 부담과 인프라 부족의 불편함이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버스 시장에서는 저가를 무기로 한 중국산 전기 버스의 국내 시장 점유 확대에 대한 대책으로 수소전기버스로의 전환이 될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CHPS 세부기준의 조속한 시행을 위해 "수소생산 기술경제성 확보를 위해 적정 산업규모 확보가 필요하고, 청정수소로 조기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정부 유인책이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책관은 "전주기 수소경제 생태계 균형발전 및 민간기업 투자 활성화를 통한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 목표를 명확히 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