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앤오케미칼은 피치 공장에 963억원을 투자한다. 준공은 내년이다. 완공되면 연 1만5000톤 규모의 음극재 코팅용 피치가 생산된다. 음극재 코팅용 피치는 일반적인 피치보다 녹는점이 높은 석유계 고연화점 제품이 사용된다. 배터리 충방전 속도를 높이고 수명을 늘릴 수 있어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중국·독일 등이 주요 생산국으로 국산화가 꼭 필요한 소재다.
원료·중간소재·제품생산에 이르는 음극재 사업 밸류체인 전체를 완성해 사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포스코케미칼은 원료는 포스코그룹의 탄자니아 광권 투자를 통해 천연흑연을, 자회사 피엠씨텍의 침상코크스 생산 등을 통해 인조흑연을 확보했다. 침상코크스란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콜타르를 고온에서 가공해 제조하는 탄소소재다. 인조흑연 음극재 원료로 사용된다.
중간소재인 구형흑연은 중국 청도중석 지분투자 및 피치 내재화로 공급망을 갖추게 됐다. 구형흑연은 광산에서 채굴한 흑연 광석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둥근 입자 형태로 가공한 중간소재다. 포스코케미칼은 이 같은 공급망 구축을 통해 최종 제품인 천연흑연과 인조흑연 음극재를 모두 양산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했다.

고연화점 피치의 국산화는 OCI의 기술력이 뒷받침된 결과다. OCI는 세계 최대의 액상 피치 제조업체로 현재 연간 53만톤 규모의 액상 피치를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피치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OCI는 이번 고연화점 피치 공장 건설로 기존의 철강 부산물을 활용한 액상 피치에서 석유계 고연화점 고상 피치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수익 기반을 확대할 것으로 보고 있다.
OCI는 최근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자동차와 같은 첨단 사업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전자소재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전자소재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북 군산공장의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생산 라인을 반도체 전용라인으로 전환하며 기업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포스코케미칼, 금호피앤비화학과 합작사를 설립하는 등 전자소재 분야 육성을 위한 전방위적인 협력을 추진했다.
김주현 포스코케미칼 기획지원본부장은 "OCI와의 협력으로 음극재 코팅용 피치를 국산화해 우리나라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며 "고부가가치 첨단 소재 분야에서 양사의 협력을 더욱 확대하고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신 OCI 부사장은 "포스코케미칼과의 협력을 통해 고부가가치 전자소재 분야로 사업 분야를 확장하고 성장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며 "이차전지 산업의 필수 소재인 고연화점 피치의 최초 국산화를 이루어 국내 이차전지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피앤오케미칼은 2020년 7월 포스코케미칼과 OCI가 51:49 비율로 지분을 투자해 설립됐다. 지난해 반도체 생산 공정의 필수 소재로 사용되는 고순도 과산화수소 공장 설립에 착수하며 고부가가치 전자소재 사업을 본격화 했다. 이번 피치 공장 착공을 계기로 향후에도 원료와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고부가가치 소재 사업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