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년전인 2018년만 해도 동국제약 R&D 인력은 지금의 절반 이하인 49명이었다. 이듬해 20명을 보강해 69명이 됐고 매년 10명 이상씩 꾸준히 인력을 늘렸다. 지난해에는 중앙연구소, 생명과학연구소, 제제기술연구소 등 3개소로 구성된 기존 연구조직에 신약연구에 특화된 DK의약연구소를 추가했다.
R&D 강화가 꾸준히 이어진 가운데 올해 새로운 개량신약 임상도 시작된다. 동국제약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골다공증 개량신약 'DKF-335'의 임상 1상을 허가받았다. 이탈리아에서 들여온 마시는 골다공증 치료제 마시본과 마시본보다 복용 용량을 줄인 마시본S에 더해 골다공증 치료제 라인업을 강화하기 위한 임상이다.
이 같은 R&D 강화의 뒷심은 OTC, ETC, 헬스케어 등 다각화된 사업부를 통한 꾸준한 실적 도약이라는 것이 업계 평이다. 올해 상반기 동국제약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355억원, 434억원으로 전년보다 12.3%, 22.5%씩 증가했다.
동국제약은 다각화된 사업을 발판으로 2020년까지 7년 연속으로 매출과 이익이 전년대비 성장했다. 하지만 지난해 코로나19로 일반약 매출이 줄며 이익이 둔화됐지만 올해 곧바로 회복한 셈이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전년대비 올해 매출과 이익 성장은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동국제약의 올해 연간 매출, 영업이익 추정치는 각각 6693억원, 807억원이다. 추정대로 실적이 나올 경우 올해 동국제약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12.7%, 27.7% 성장하게 된다.
정재원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동국제약의 일반의약품은 계절적인 요인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제품들 위주로 구성돼 있으며 전문의약품 사업도 코로나19 회복세에 따른 만성질환 의약품 관련 매출성장이 예상된다"며 "하반기에도 실적 호조가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