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인가족 영화+팝콘값 10만원…블록버스터 나와도 '볼까 말까'

머니투데이 유승목 기자 2022.08.29 06:00
글자크기

7~8월 영화시장 매출액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했지만 관객 증가세는 더뎌…주요 기대작은 손익분기점도 못 넘겨

지난 18일 오전 서울 시내 한 영화관. /사진=뉴시스지난 18일 오전 서울 시내 한 영화관. /사진=뉴시스


코로나19(COVID-19) 엔데믹을 기점으로 달아오른 극장가에 이상기류가 감지된다. 거리두기 해제와 함께 찾아온 여름 성수기를 맞아 영화관이 발 디딜 틈 없이 붐빌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영화관 나들이 수요가 예상보다 저조하다. 급격히 오른 영화 관람료 효과로 영화시장 매출은 커졌지만, 덩달아 영화물가에 대한 부담도 커지며 영화관람수요가 크게 늘지 않고 있어서다.

29일 영화진흥위원회가 운영하는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에 따르면 7월부터 전날(27일)까지 약 두 달간 국내 영화시장 매출액은 3131억원으로 집계됐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한창이었던 전년 동기(약 1447억원)보다 116% 가량 증가했고,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3930억원)과 비교해 약 80% 수준까지 회복했다.



팬데믹 위기로 고사 직전까지 놓였던 영화시장이 되살아난 모양새다. 하지만 영화 관람객으로 놓고 보면 사정이 달라진다. 올해 7~8월 극장을 찾은 관객 수는 3023만여 명으로, 4670만명을 기록했던 2019년 여름 성수기와 비교하면 65% 수준에 불과하다. 통상 영화 관객 수와 매출액 증감이 비례하기 마련인데, 영화 관객 증가세가 더딘 상황에서 매출 회복세는 빨라지는 현상이 벌어졌다.

실제로 영화시장 매출액이 증가한 것과 달리 7~8월 스크린을 장악했던 영화들은 흥행 참패 수준이다. 당초 여름 극장가 '빅4'로 불리며 영화시장 회복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외계+인 1부', 한산: 용의 출현', '비상선언', '헌트' 등은 관객을 끌어들이지 못해 손익분기점도 넘기지 못하며 체면을 구겼다.



7월20일 개봉한 '외계+인 1부'는 누적 관객 153만명을 모으는 데 그쳤다. 330억원을 들인 블록버스터지만 손익분기점인 730만명에 턱 없이 모자란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8월3일 개봉한 비상선언도 손익분기점인 700만명의 관객을 모으기 어려운 모습이다. 그나마 한산: 용의 출현이 이순신 장군과 광복절 효과가 더해지며 가까스로 손익분기점인 600만 관객을 돌파했다.
한 대형 영화관을 찾은 한 관객이 팝콘을 건네받고 있다. /사진=뉴시스한 대형 영화관을 찾은 한 관객이 팝콘을 건네받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에 대한 원인으로 코로나19 이후 급격하게 오른 영화 관람료가 지목된다. 손실을 메우기 위해 주요 멀티플렉스들이 궁여지책으로 관람료를 대폭 인상한 영향으로 관람수요 성장세는 더디고, 개별영화들이 손해를 보는 와중에도 매출은 빠르게 회복됐다. 영화계에 따르면 코로나 이전과 대비해 관람료가 25% 가량 올랐다.

이에 따라 관객들에게 영화관 나들이가 자연스러운 여가활동이 아닌 까다롭게 살피고 난 뒤에 지갑을 여는 소비활동으로 바뀌게 됐다. 4인 가족이 주말에 영화를 보려면 팝콘 등 먹거리까지 더해 10만원에 육박하는 비용을 써야 하다보니, 블록버스터가 개봉했단 소식에도 전문가 평점이나 관객 리뷰 등을 꼼꼼히 보거나 취향에 맞는 영화만 보는 경우가 늘었다.

영화 티켓 한 장 가격으로 한 달 동안 다양한 TV시리즈와 영화를 볼 수 있는 넷플릭스 등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의 존재도 영화관람심리에 찬물을 끼얹었다. 굳이 영화관을 찾지 않아도 시간이 지나면 OTT에 공개된다는 점에서 굳이 영화관을 찾을 이유가 없다는 심리도 커지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를 감지한 정부도 내년부터 도서구매·공연·미술관람 등 30%의 소득공제율이 적용되는 문화소비 항목에 영화관람도 추가해 소비부담을 낮추기로 했다. 하지만 내년부터 시행이라 소비자들에게 아직 체감효과가 없는 실정이다. 하반기 영화시장이 다시 침체될 수 있단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에 따라 영화계 안팎에선 관객들의 소비부담을 낮춰 영화 나들이를 활성화할 유인책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높아진다. 황승흠 국민대 교수는 최근 영진위의 '한국영화산업 위기 극복방안 토론회'에서 "영화 입장료가 코로나19 때문에 굉장히 올랐다"며 "영화발전기금을 확장하면서 기금 일부를 추첨을 통해 관람권 등으로 돌려주는 복권제도를 운영하면 관객들도 재밌어 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