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적 반응률(ORR)' 기준 암 병변의 크기가 30% 이상 줄어든 것을 말한다. 또 다른 장기로 미전이 상태가 4주 이상 지속되는 상황으로 약효 검증을 의미한다.
탈레트렉티닙은 올해 6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대상을 기존 2차 치료제 투약군에서 1차 치료제로 확대한 바 있다. 이번 2차 치료군에서 우수한 치료 효과가 드러난 만큼 향후 진행할 1차 치료제 투약군 대상 임상에서 더욱 증대된 효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탈레트렉티닙은 글로벌 임상 당시 1차 치료군에서 완전관해 2건이 발생하는 등 치료 효과를 보였다. 미국 안허트테라퓨틱스가 올해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한 글로벌 임상 2상 중간결과에선 완전관해 2건과 1차 치료제 투약군의 ORR 92.5%, 2차 치료제 투약군 ORR 50%가 관찰됐다. 뇌 전이 병변이 있는 환자는 ORR 91.7%로 공개됐다. 이는 동일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화이자의 1차 치료제 '잴코리(크리조티닙)'의 승인 당시 ORR 73%를 상회하는 수치다.
뉴지랩파마 관계자는 "이번 국내 임상 2상 결과는 신체적 기능 저하와 예후가 좋지 않은 2차 치료군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로 6주 이상 투약 환자들에게서 호전 증상이 관찰된 만큼 더욱 고무적"이라며 "최근 탈레트렉티닙과 비슷한 치료제를 개발한 '터닝포인트'가 글로벌 제약사 BMS에 5조원에 인수되는 등 시장의 가치는 더욱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임상 2상 관련 30% 이상 환자 데이터 축적 시 중간 결과도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