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지난 6월에만 22% 넘게 하락한 'TIGER KRX2차전지K-뉴딜레버리지 (11,525원 ▲420 +3.78%)' ETF는 7월부터 반등하기 시작해 이 기간 33.99% 올랐다. 이 ETF는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2차전지 산업 관련 대표기업 10개 종목에 투자한다.
IT·성장주는 올해 상반기 국제 유가 상승과 인플레이션, 그에 따른 금리인상에 맥을 못췄다. 코스피 대비 상대수익률을 보면 소프트웨어(-18.9%p), 디스플레이(-17.2%p), IT가전(-6.8%p), 반도체(-6.3%p), IT하드웨어(-6.1%p) 등 피해가 상당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탓에 지난 2월 이후 급등세를 보인 국제 유가도 최근 들어 하락 전환했다. 'KODEX WTI원유선물(H)'(-6.18%), 'TIGER 원유선물Enhanced(H)'(-5.96%) 등 원유 선물에 투자하는 ETF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증권가는 오는 10월까지는 주식시장의 반등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그동안 낙폭이 커 가격 매력도가 높아진 성장주를 이 시점에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이정빈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3분기 프리뷰 시즌인 10월까지는 주식시장 리바운드가 지속될 전망"이라며 "이후에는 금리인상 여파가 기업 이익에 시차를 두고 반영돼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7월에는 성장주가 코스피 수익률을 이겼고 10월 이전까지 안정적 주가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며 "할인율이 하락하고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성장주와 모멘텀 위주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도 "성장주는 유가 하락에 따른 시중금리 안정화 환경에서 나은 수익률을 보인다"며 "향후 2~3개월 동안 포트폴리오 전략에서 낙폭 과대 성장주인 소프트웨어, IT 내 최종재 위주의 대응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