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부위원장은 3일 서울 마포 프론트원에서 열린 '금융분야 AI 활용 활성화 간담회'가 끝난 뒤 취재진을 만나 "(채무조정 프로그램이) 기존 프로그램과 아주 많이 다르지 않다"며 "기존 프로그램에 비해 훨씬 더 모럴 해저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기는 쉽지 않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채무조정 프로그램인 '새출발기금'을 두고 일부에서는 모럴 해저드를 부추긴다는 비판이 나온다. 시도지사협의회가 논의한 공동성명서 초안에는 "60~90%의 채무 원금감면 정책이라는 점에서 고의적으로 채무를 미상환하는 도덕적해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했다.
김 부위원장이 언급한 기존의 채무조정 프로그램은 신용회복위원회의 개인워크아웃, 법원의 개인회생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 제도와 새출발기금의 기본 채무조정 원칙이 유사하다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개인워크아웃은 채무가 3개월 이상 연체되면 신청할 수 있다. 개인워크아웃은 채권 상각여부에 때라 원금이 0~70% 감면되고, 사회취약계층은 최대 90%까지 감면된다. 새출발기금의 원금 탕감도 채무가 3개월 이상 연체된 자영업자·소상공인이 대상이다.
김 부위원장은 "새출발기금과 관련해서는 조만간 따로 발표를 할 계획"이라며 "구체적인 내용이 1~2주내로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업계와 협의를 묻는 질문에는 "계속 소통하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