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일부 의료기관의 과잉진료와 일부 가입자의 의료쇼핑으로 멍들고 있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누적된 적자만 10조원이 넘는다. 손해율은 130%를 넘는다. 보험료로 100원을 받으면 보험금으로 130원을 쓴다는 말이다. 이같은 추세면 수년내 망하는 보험사가 나올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실손보험 판매를 포기한 보험사도 수두룩하다. 대다수 가입자인 2600만명 이상이 보험금을 한번도 받은 적 없이 매년 보험료 상승이라는 부담을 떠안고 있다.
하지만 도덕적 해이를 유발하는 상품 설계에도 문제가 있다. 실손보험금 누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올 때마다 '나오지 말아야 할 상품이 나왔다'라는 '원죄론'다.
노무현 정부는 실손보험이 과잉진료를 유발하고 있다며 100% 보장에 제동을 걸었으나 논의는 지지부진했다. 이어 이명박 정부도 같은 이유로 100% 보장이라는 설계를 손보려고 했다. 당시 정부는 자기부담률을 20%로 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10%로 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보험사가 강력하게 반대해서다. 당시에도 손해율이 높았지만 보험사들은 일시적인 현상이라며 외면했다.
논의가 길어지면서 영업현장에선 '앞으로 100% 보장 상품이 나오지 않는다'며 1세대 실손보험 가입을 부추겼다. 그 결과, 실손보험 중 손해율이 가장 높은 1세대 실손보험 비율은 22.1%(3월 기준)에 이른다.
2009년 자기부담률 10%의 표준화(2세대) 실손보험이 나왔음에도 과잉진료는 사라지지 않았고 2017년 4월 '착한 실손'이라는 이름으로 3세대 실손보험이 나왔다. 3세대 실손보험은 1세대와 2세대 만큼 손해율이 높지 않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도수치료와 백내장 등 비급여 과잉진료를 해결하지 못하고 손해율이 100%를 넘었다.
결국 지난해 7월 4세대 실손보험이 나왔다. 보험료는 착한 실손보다 더 저렴하다. 무엇보다 4세대 실손보험은 보험금을 많이 받는 사람이 보험료를 더 내도록 해 실손보험 가입자간 형평성을 해소했다.
![[광화문]실손보험 원죄론과 결자해지](https://thumb.mt.co.kr/06/2022/08/2022080408151040846_1.jpg/dims/optim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