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돼지열병은 국내에서 '위기' 단계로 분류된 1종 가축전염병이다. 지금까지 검역기관은 확진될 경우 포획 지역 내 모든 사육 돼지를 살처분하는 방역 방식을 적용해왔다. PCR검사 또한 현장에서 채취한 검체를 검역기관으로 이송해 검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했다.
그는 이어 "아프리카 돼지열병의 확산은 해외의 경우에도 특별한 대응법이 없어 2018년 중국에서 4억 마리의 돼지를 살처분한 사례가 있다"며 "최근 구제역과 아프리카 돼지열병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호주는 현재까지 약 30조원 상당의 피해를 예상하고 있으며 대규모 확산으로 진행될 경우 피해 금액은 70조원 이상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패트리어트 컨소시엄은 이어 가축에서 사람에게도 전염될 수 있는 '브루셀라증'과 '소 결핵' 등의 진단도 가능한 인수공통전염병 진단키트도 개발하고 있다. 2개월 내에 품목허가를 취득하고 국내외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세원이앤씨는 가축 전염병 시장 뿐 아니라 애견 시장으로도 진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애견 바이러스 질환인 파보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홍역 등을 진단할 수 있는 현장진단 PCR기기 개발에 착수했다. 전국 동물병원에 보급해 현장진단 PCR검사 기술 적용 분야를 확장할 예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