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운영 어떻게?…'원전 규제'도 수출품, 사우디에 팔았다

머니투데이 김인한 기자 2022.07.26 14:30
글자크기

KINS, '연구용 원자로 규제' 수주…계약 규모 '30억원'
7년 전 '중소형원자로 협력' 사우디, 탈원전에 멀어졌지만…이번 계약으로 "협력 재개"
전문가 "규제기술 수출, 원전 수출에도 긍정적 영향"

2015년 11월 서울에서 열린 '제1차 한·사우디 원자력 공동위원회' 모습. 당시 사우디는 한국에 1억 달러를 투자해 중소형원자로 도입을 추진했으나 이후 탈원전 정책과 맞물려 협력이 지지부진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한국과 사우디가 원자력 분야에서 협력키로 했다. / 사진=뉴스12015년 11월 서울에서 열린 '제1차 한·사우디 원자력 공동위원회' 모습. 당시 사우디는 한국에 1억 달러를 투자해 중소형원자로 도입을 추진했으나 이후 탈원전 정책과 맞물려 협력이 지지부진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한국과 사우디가 원자력 분야에서 협력키로 했다. / 사진=뉴스1


'K-원전'의 글로벌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한국산 원자력발전 기술에 이어 원전(原電)의 안정적 관리에 필요한 '규제 기술'까지 해외 수출 품목의 반열에 올랐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사우디 원자력규제위원회(NRRC)가 공모한 '연구용 원자로 규제 절차 개발 및 기술지원 사업' 수주에 성공, 계약 체결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계약은 232만달러(약 30억원) 규모다.



사우디는 2018년 11월 아르헨티나 공기업인 INVAP사로부터 30kW급 연구용 원자로 1기를 도입해 건설 중이다. 사우디는 석유 부국이지만, 국가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원자로 도입에 나섰다. 특히 올 5월에는 한국·프랑스·중국·러시아 등 4개국에 12조원 규모의 원전 건설 의사를 타진하는 입찰 참여요청서를 보내기도 했다.

앞서 사우디는 2015년 3월 한국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독자 개발한 중소형 원자로 'SMART' 도입을 추진한 바 있다. 당시 한국은 사우디로부터 SMART 건설 전 설계(PPE·Pre-Project Engineering)를 위해 1억 달러(당시 약 1160억원)를 투자 받았다. 그러나 국내 '탈원전' 정책으로 SMART 기술 실증이 지연됐고, 이에 사우디도 '검증되지 않은 원자로는 리스크가 있다'며 도입을 미뤄왔다.



이처럼 양국의 원자력 협력은 한동안 부진했지만, 이번 규제개발 사업을 계기로 협력의 물꼬가 다시 트일 전망이다. 이번 계약에 따라 KINS는 앞으로 △연구용 원자로 인허가 지침 개발 △건설 이후 시운전 및 운영 단계별 규제 절차 개발 △사우디 규제인력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등을 지원하게 된다. 특히 사업 내용 중 핵연료 수출입, 운반, 선적 등 규제 절차 개발은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과 공동 추진한다.

SMR은 전기출력 300㎿(메가와트)급 원자로다. 대형 원전에 비해 에너지 출력이 높고 안전성이 극대화된 특징을 지닌다.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 주요기기가 일체화됐다. 모듈 조립이 가능해 도심이나 외지에 설치할 수 있다. / 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SMR은 전기출력 300㎿(메가와트)급 원자로다. 대형 원전에 비해 에너지 출력이 높고 안전성이 극대화된 특징을 지닌다.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 주요기기가 일체화됐다. 모듈 조립이 가능해 도심이나 외지에 설치할 수 있다. / 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이에 대해 심형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은 안전을 전제로만 지속성을 가질 수 있다"며 "이는 모든 원자력 이용국들이 원자력 안전 규제 체제를 갖추고 전담 기관을 운영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원자력 이용 기술과 함께 규제 기술 역시 높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규제 수출이 앞으로의 원전 수출에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정용훈 KAIST(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규제기술이 수출됐다는 것은 우리나라 기술의 우수성을 보여준 것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원전 수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KINS와 KINAC은 지난 4월부터 '중소형원자로 안전규제 기반 기술개발 사업'에 착수했다. 소형모듈원자로(SMR) 인허가를 위한 선제적 규제 개발이 목적이다. 올해 20억원을 시작으로 총 7년간 사업비 360억원이 투입된다. 한국은 또 2028년까지 혁신형 SMR(i-SMR)을 개발하고 2030년대 원전 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