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안리 1970년대 싱가포르 진출…빠른 의사구조 내세워 공략

다만 동남아시아는 2010년대까지는 보험에 대한 인식이 크지 않았다. 재보험 뿐만 아니라 원보험에 대한 필요성도 높지 않은 분위기였다. 이에 따라 2000년대 코리안리 싱가포르 지점의 연 매출도 1000만~3000만SGD(싱가포르 달러, 약 100~300억원) 수준이었다.
코리안리는 스위스재보험과 뮌헨재보험 등 글로벌 재보험사와 비교해 자본력이 크거나 영업 네트워크가 넓진 않다. 하지만 이들보다 빠른 의사구조를 내세워 동남아 재보험 시장을 지속 공략하는 상황이다.
삼성화재 2011년 재보험 동남아 재보험 시장 공략위해 싱가포르에 둥지

손보사인 삼성화재이지만 국내에서도 일부 재보험 관련 사업 모델을 구축해 영업을 하고 있다. 싱가포르 지점에 파견된 삼성화재 직원들은 국내에서 삼성화재라는 타이틀을 달고 재보험 업무를 지속적으로 해왔던 '스페셜리스트'들이다. 삼성화재 싱가포르법인 설립초기부터 함께한 경험과 로열티를 갖춘 현지 직원들이 함께 세계 유수 재보험사들과 경쟁하며 존재감을 과시 중이다.
실적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다. 설립초기 662억원이었던 삼성화재 싱가포르법인 매출은 2020년 863억원에서 지난해 1035억원으로 뛰었다.
코리안리와 삼성화재 외에도 현대해상이 중개법인(Broker) 형태로 싱가포르 재보험 시장에 진출해 있다. 2011년 현지 업체와 합작 법인을 설립하고 2016년 독자법인으로 전환했다. 지난해 기준 매출은 약 23억원 수준이다.
코리안리 싱가포르 지점 관계자는 "싱가포르에는 많은 우수 대한민국 인재들이 진출해 역량을 발휘해 인정받고 있다'며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현지에서 대한민국 보험인들이 국가와 회사를 대표해 고군분투 중"이라고 말했다.
느리지만 디지털 서비스 구축 모색…"배우려는 자세로"B2B(기업 대 기업) 사업 모델을 가진 특성상 싱가포르 진출 국내 재보험사들의 디지털 서비스 도입과 진행은 다소 느린 편이다. 다만 내부 업무의 DT(디지털전환)와 경쟁사 동향에 관심을 갖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며 디지털 서비스 관련 글로벌 스탠다드(국제 표준)에 부합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 중이다.
코리안리 싱가포르지점의 경우는 DT에 신경쓰는 모습이다. 2016년부터 태블릿PC 등을 활용한 페이퍼리스(paperless) 회의 체계를 구축했고, 2019년부터는 가상화 업무 시스템을 도입해 본사와 지점간 시간차 없는 소통 체계를 갖췄다. 코로나19(COVID-19)라는 유래없는 글로벌 감염병 확산 시기에도 업무 효율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삼성화재 싱가포르법인은 최근 글로벌 보험업계의 이슈로 부상한 사이버리스크에 대응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랜섬웨어나 디도스 공격에 의한 피해 발생 보장을 글로벌 재보험사들이 어떤 방식으로 산정하는 지를 관찰하며, 벤치마킹 여부를 검토 중이다.
삼성화재 싱가포르법인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1위지만 글로벌에서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아 디지털 서비스도 선도를 하겠다는 욕심보단 배우려는 자세로 임하고 있다"며 "싱가포르가 아시아 재보험의 허브인만큼 글로벌 시장 동향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