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日 국민소득 넘는다고? 강달러가 부른 착시

머니투데이 김경환 에디터 2022.07.28 03:10
글자크기
기축통화의 위력일까. 유례 없는 인플레이션에 미국의 기준금리가 급격히 인상되면서 달러 강세가 날이 갈수록 위력을 더하고 있다. 각국이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연준)을 따라 자국 기준 금리 인상에 나섰음에도 역부족이다.

실로 기축통화국가 가진 위력이다. 미국이 천문학적 경상수지 적자를 내고 있음에도 미국 경제 파워가 유지되는 것은 달러화가 기축통화이기 때문이다. 이는 각국이 자국 환율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막대한 달러를 보유하려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도 지난 6월말 기준 세계 9위 수준인 4382억8000만달러(약 575조3739억원)의 외환보유액을 보유하고 있다. 만약 한 국가의 달러 보유액이 크게 줄어들면 전 세계는 이 나라의 금융시장이 취약해졌다고 보고 투자를 회수할 것이어서 전 세계가 울며겨자먹기로 달러를 보유할 수밖에 없는 메커니즘이 형성된 것이다.



그렇다면 달러는 언제부터 기축통화가 된 것일까. 19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달러 위상은 지금과 사뭇 달랐다. 유럽 경제가 전성기 시절로 달러는 하나의 유력한 화폐였을 뿐이었다. 미국은 19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연방 정부의 지나친 간섭을 배제한다는 목적으로 중앙은행 체제도 제대로 갖추지 않았을 정도다. 그러다 제1차, 제2차 세계대전이 유럽에서 터지자 모든 상황이 바뀌었다. 두차례 파괴적 전쟁을 거치면서 유럽의 생산시설이 파괴되고 경제가 망가지자 미국 달러를 위주로 하는 국제금융질서가 형성됐다. 미국은 해외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인해 경제력을 그대로 유지한 결과다.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인 1944년 출범한 브레튼우즈 체제는 달러 기축통화의 시발점이었다. 브레튼우즈 체제는 달러를 기축통화로 하는 금환본위제를 공식화했다. 미국은 전쟁후 재건을 위해 막대한 달러를 쏟아냈다. 이후 세계 각국이 변동환율제를 채택한 킹스턴체제 등을 거쳤지만 달러의 위상은 굳건히 살아남아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최근 미국 달러화가 급격한 강세를 나타내는 것은 연준이 2007년 금융위기 이후 경제를 떠받치기 위해 막대한 분량의 달러를 풀던 양적 완화를 종료했기 때문이다. 시중에 풀린 막대한 유동성이 인플레이션이란 부메랑이 돼 경제를 덮치자 연준은 더는 양적 완화를 펼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다. 결국 미국이 금리 인상과 유동성 회수에 나서는 등 긴축으로 돌아서자 강달러는 숨은 본색을 드러냈다.

그 결과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를 상회하는 강달러가 지속되자 한국 경제의 위기감이 고조된다. 최근 급격한 원화 약세는 수입 물가를 끌어올려 인플레이션의 원흉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한국은행도 사상 첫 빅스텝(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하지만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를 따라잡기엔 역부족이다.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28일 새벽엔 금리 역전이 확실시된다.

금리역전이 발생하면 국내 투자 자금이 미국으로 빠져나가는 속도가 더 빨라지는 등 한국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원/달러 환율 인상 속도가 더 빨라질 가능성도 있다. 당분간 한국은행도 미국에 보조를 맞춰 금리 인상 속도를 올릴 수밖에 없다. 이러한 금리인상은 결국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 경기둔화와 침체란 부메랑으로 돌아온다. 정부의 침착하고 정밀한 정책 대응이 필요한 이유다. 윤석열 정부의 경제 리더십이 반드시 필요한 순간이다.


환율 영향은 다방면으로 나타난다. 경제 성장 때문이 아닌 환율 때문에 일본의 1인당 국민소득(GDP)을 뛰어넘을 가능성이다. 일종의 경제 착시다. 일본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을 단행하지 않아서다. 일본 경제잡지 도요게이자이에 따르면 노구치 유키오 히토쓰바시대학 명예교수는 엔/달러 환율이 140엔까지 오르면 한국의 1인당 GDP가 일본의 1인당 GDP를 넘어선다고 분석했다. 10년전인 2012년만 하더라도 일본의 1인당 GDP는 일본의 2배였다. 그야말로 환율의 아이러니다.

[광화문]日 국민소득 넘는다고? 강달러가 부른 착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