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정은 다른 기업들도 비슷했다. 유유제약 (5,850원 ▼40 -0.68%)에선 유원상 사장이 지난 19일 하나은행과 주식담보대출 연장 계약을 맺었다. 담보로 제공한 주식 수는 57만9499주로 기존 계약과 동일했지만 대출액이 20억원에서 18억원으로 줄었다. 사실상 추가 담보를 제공한 것과 같은 효과다. 특히 이자 부담이 배로 커졌다. 전보다 2.01%포인트 오른 4.62%로 책정돼서다.
이외 한독 (15,100원 ▲50 +0.33%)은 김영진 회장 장남이 최대주주인 와이앤에스인터내셔날의 주식담보대출이 연장되면서 담보 주식 수가 6만여주 늘고 이자율이 4.5%로 0.5%포인트 올랐다. 액수는 27억원으로 동일하다. 알리코제약 (6,970원 ▲100 +1.46%) 오너일가는 담보 주식 수는 늘었지만 대출액이 줄고 이자율은 1.24%포인트 뛰었다.
기준금리 인상, 주가 침체 원인이들의 대출 금리가 오른 것은 기준금리가 오른 영향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8월부터 기준금리를 꾸준히 인상했다. 특히 올 들어서는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랐다. 작년 8월 0.75%로 1년 3개월만에 0.25%포인트 오른 기준금리가 작년 11월 1%, 올해 1월 1.25%, 4월 1.5%, 5월 1.75%, 이달 2.25%로 올랐기 때문이다. 올 들어서만 1.25%포인트가 오른 것이다.
다른 대출과 마찬가지로 주식담보대출도 '기준금리'에 대출자 신용도, 담보물에 대한 평가 등 가산금리를 반영해 최종 금리가 책정된다. 따라서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가 오르는 게 자연적 수순이다.
추가 담보 물량이 늘어난 것은 제약바이오 오너일가가 보유한 주식가치가 그만큼 떨어졌기 때문이다. 25일 종가 기준 제약·바이오 기업이 다수 속해있는 코스닥 제약지수는 8533.11로 1년 전보다 34.7% 낮다. 같은 기간 코스닥 지수 낙폭 25.2%보다 큰 수치다. 실제 광동제약은 이날 종가가 6470원으로 1년 전보다 28% 하락했다. 유유제약은 6850원으로 한독은 1만8250원으로 각각 31.2%, 33.2% 떨어졌다.
문제는 앞으로다. 만기가 돌아오는 주식담보대출 이자율이 보다 뛸 수 있다. 이달 미국 Fed(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또 한번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 흐름을 감안해 연내 국내 기준금리 추가 인상도 유력시되는 상황이다. 현재 한미 기준금리는 동일하다. 주식시장도 최근 코로나19 재유행을 업고 제약·바이오주가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예년 수준을 회복하려면 아직 멀었다.
익명을 요구한 경영학 교수는 "주가가 떨어진 상황에서 금리가 올리가면서 주식담보대출을 받은 이들은 이중, 삼중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며 "이 상황에서는 주식담보대출 규모를 줄일지, 투자(대출받아 한 투자)를 줄일지 판단이 필요하다. 둘 중에는 하나를 줄여야 위기를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남의 돈으로 투자할 때 레버리지 이펙트(지렛대 효과) 이상이면 괜찮지만 이하면 양쪽으로 손실을 부담해야 한다. 주가 하락, 이자 상승이라는 가중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며 "지금은 보수적으로 접근할 때"라고 덧붙였다.
실제 차병원그룹 오너 3세 차원태 부사장은 이달 초 신한금융투자와 차바이오텍 (12,730원 ▲220 +1.76%) 보유 주식을 담보로 4억9000만원을 빌린 주식담보대출 연장계약을 체결했다. 이 과정에서 담보로 제공하는 주식 수가 6만6667주로 1만5758주 늘었고 이자가 4.5%로 0.5%포인트 올랐다. 며칠 후 차 부사장은 대출금의 일부인 2억원을 상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