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성과 없는 바이든, 中관세 떼고 결과 낼까? "시진핑과 곧 대화"

머니투데이 정혜인 기자 2022.07.21 10:38
글자크기

중국 측 정상회담일 이달 25일께로 제안…관세 인하 결정했을 가능성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3월 18일 (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관련해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화상 통화를 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3월 18일 (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관련해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화상 통화를 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5번째 접촉이 이달 안에 이뤄질 전망이다. 세계 정세가 불안한 가운데 그간 외교 성과가 뚜렷하지 않고, 높은 인플레이션 문제로 자국 내 지지율이 계속 밑으로 떨어지는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과는 일정한 결과물을 낼지 주목된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기후변화 대응 관련 연설을 위해 미 매사추세츠주 서머싯을 방문 뒤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앞으로 열흘 안에 시 주석과 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회담 형식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지만 지난 3월처럼 온라인(화상)회담으로 진행될 거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성사된다면 지난 3월 18일 이후 4개월여 만의 회담이다. 양국 정상은 지난해 1월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전화통화(2021년 2월과 9월), 화상 회담(2021년 11월과 2022년 3월) 등을 통해 총 4차례 접촉했다. 대면 회담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양국 정상의 5번째 접촉 가능성은 지난 10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장관이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회담을 가진 이후부터 제기됐다. 현재 양국 행정부는 회담의 일정과 주요 의제를 논의 중으로,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중국 측은 오는 25일쯤으로 회담 일자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외신은 양국 갈등의 뇌관인 대만 독립, 우크라이나 사태를 비롯해 바이든 대통령이 현재 검토 중인 대중 관세 철폐안도 이번 회담의 주요 의제가 될 것으로 봤다.

2013년 중국 베이징에서 조 바이든 당시 미국 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뉴스1  2013년 중국 베이징에서 조 바이든 당시 미국 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뉴스1
바이든 대통령은 현재 흔들리는 지지율의 주요 원인인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자 중국산 수입품 일부 관세를 인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날 발표된 미국 퀴니피액대 국내 여론조사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율은 31%로, 지난달 조사(33%) 때보다 2%포인트 더 하락했다. 부정평가는 57%에서 60%로 늘었다. 경제와 외교 정책 관련 지지율은 각각 28%, 36%였다.

앞서 미국 행정부 내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무역전쟁 과정에서 중국산 수입품에 적용한 고율 관세가 미국 내 가격 상승을 초래했다며 물가안정을 위해 대중 관세를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러나 정부 내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한 대응을 이유로 관세 인하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어 바이든 대통령은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정상 회담을 언급했다는 것은 바이든 대통령이 이 문제에 대한 입장을 정리했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시 주석에게 관세에 대해 어떻게 말할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그(시 주석)에게 좋은 하루를 보내라고 말할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미 행정부의 고위당국자는 "이번 회담은 미·중간 지역 및 국제적 이슈에 관한 것으로, (대중) 관세 절차와는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이 내달 아시아 순방 일정에 대만을 포함할 것으로 알려진 것에 대해 "군에선 지금 당장은 좋은 생각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저는 어떤 상황인지 모르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펠로시 의장의 계획에 중국은 강력 반발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