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개발사업'은 국제해운 업계의 친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2031년까지 10년간 총 사업비 2540억이 투입된다. 정부는 2050년까지 국제해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8년 대비 50% 감축하도록 한 IMO(국제해사시구)의 규제에 맞춰 친환경 선박 및 관련 기자재의 조기 상용화를 목표로 내걸었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은 "이번 사업에서 개발한 기술을 적용해 미래 친환경 선박 시장을 주도하는 조선강국 위상을 되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송상근 해수부 차관 역시 "미래선박 시장 선도를 위한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해운·조선 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해 달라"며 "해수부는 우리나라의 기술개발 결과물이 국제기준을 주도하고 세계시장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장영진 차관은 이날 사업단 출범 행사에 앞서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업계 관계자와 만나 조선업 인력현안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간담회에서 업계는 E-7(기능인력)·E-9(단순노무인력) 등 비자제도 개선을 통한 외국인력 도입을 활성화하고 조선산업 내 안정적 인력 수급을 위한 정부지원, 주52시간제 제도 개선 등을 건의했다.
장 차관은 이에 대해 "인력수요처인 조선사가 협력사, 외국인력 중개업체, 현지 송출업체 등과 협력해 개선된 제도에 따라 외국인력이 신속하게 도입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며 "추가적인 비자제도 개선사항, 주52시간제도 관련 건의 등 관계부처와 협의가 필요한 분야에 대해서도 산업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