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잡아라…국내 제약사 치료제 개발戰

머니투데이 박다영 기자 2022.07.06 06:20
글자크기

'임상 3상' 앞서는 한미약품
LG화학도 미국서 임상 1상
약값 부담 치료 걸림돌 지적
의료계 '건보 적용' 주장도

비만 잡아라…국내 제약사 치료제 개발戰


글로벌 제약사들이 차세대 비만 치료제를 내놓자 국내 제약사들도 개발에 뛰어든다. 환자 수가 늘고 있는 데다가 만성질환이라 오랜 기간 관리해야 한다는 특성 때문에 시장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의료계에서는 높은 약가가 치료의 걸림돌이란 지적이 나온다. 환자 3명 중 1명이 약값 부담 때문에 치료를 중단하고 있다며 건강보험 적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미약품 (308,500원 ▼7,500 -2.37%), 유한양행 (69,300원 ▼800 -1.14%), LG화학 (370,500원 ▼8,000 -2.11%) 등 제약사들이 비만 치료제를 개발중이다.



한미약품 (308,500원 ▼7,500 -2.37%)은 국내 업체 중 가장 빠른 단계에 있다. 제2형 당뇨병 치료제 후보물질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임상 3상에서 혈당조절 외에 체중감량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LG화학 (370,500원 ▼8,000 -2.11%)은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 'LR19021'의 미국 임상 1상을 진행중이다. 유한양행 (69,300원 ▼800 -1.14%)은 'YH34160'의 임상 1상 진입을 준비중이다. 대웅제약 (107,500원 ▼1,700 -1.56%)은 'DWP306001'의 국내 임상 1상을 진행중이다. 광동제약 (6,630원 ▼60 -0.90%)은 쿼드메디슨과 몸에 붙이는 패치 제형의 치료제를 개발중이다.



국내 제약사들이 비만 치료제 개발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시장 잠재력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비만 환자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데다가 만성질환이라 고혈압이나 당뇨처럼 오랜 기간 약을 복용해야 한다. 시장조사기업 리서치앤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은 지난해 32억달러에서 2026년 46억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시장에 진입한 글로벌 제약사들은 선두를 놓치지 않으려고 차세대 치료제 제품을 내놓는다. 전 세계 비만치료제 시장점유율 1위는 노보노디스크의 '삭센다'다. 삭센다는 일본, 중국 등에서 물질 특허가 만료됐고 내년이면 미국과 유럽에서도 만료된다. 물질 특허가 만료된 후 여러 제약사가 낮은 가격으로 제네릭(복제약)을 출시할 것을 대비해 회사는 지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삭센다의 후속 약물인 위고비의 품목허가를 승인받아 출시했다. 회사에 따르면 지난해 삭센다와 위고비 두 품목의 매출은 1조5000억원을 넘었다.

일라이릴리는 지난 5월 당뇨병 치료제 '마운자로'의 허가를 받았다. 임상 시험에서 15mg을 투약한 환자가 최대 24kg의 체중 감소 효과를 보였다.


다만 비만치료제는 높은 약가가 걸림돌이다. 삭센다는 비급여 항목이다. 3mL가 1펜이라는 단위로 판매되는데 1펜은 보통 1~2주간 사용할 수 있다. 매일 펜으로 본인이 주사해야 한다. 1펜당 가격은 13만~15만선이다. 많게는 한 달에 60만원이 든다. 마운자로는 국내에서 주 1회 맞는 주사제다. 미국 기준 한 달 약값은 974.33달러(약 121만원)선이다. 현재 시장에서 삭센다의 뒤를 좇는 약은 알보젠의 '큐시미아'다. 먹는 알약 형태로 하루의 한 알을 복용하는데 한 달 분은 15만원 선이다.

의료계에서는 환자가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건강보험 급여 적용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대한비만학회는 최근 '비만 진료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를 발표했다. 전국 의사 7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약물 치료 도중 환자의 약값 부담으로 치료를 중단하는 비율이 33%에 달했다. 이 중 46%는 비만 치료제가 건강보험에 적용되지 않아 비용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학회는 "관련 급여화가 이루어져 환자들이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후발 주자인 국내 업계가 과점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격 경쟁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은 후발주자인 만큼 편의성과 안전성에서 경쟁력을 입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