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값 부담을 낮춘 새로운 공급 방식으론 '리츠'를 활용한 주택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리츠는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총 자산의 70% 이상을 부동산 등에 투자·운용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투자기구다.
'지분형 임대주택리츠'의 기본구조는 입주자가 집값의 일부, 약 10%에 해당하는 보증금만 부담하고, 10년 안에 리츠 주식 매입을 통해 거주하고 있는 주택 지분의 대부분, 가령 80%를 취득하면 소유권이 부여되는 형태다. 보증금은 리츠 주식으로 취득할 수 있어, 입주와 동시에 주택 지분 10%는 확보하는 셈이다. 입주 후에는 임차인으로서 거주하면서 월세(임대료)를 내고 여윳자금이 생길 때 마다 리츠 주식을 추가 매입해 지분을 늘려가면 된다.
![[단독]대장동 1타강사 '원희룡표 주택' 나온다](https://thumb.mt.co.kr/06/2022/06/2022062315301580536_2.jpg/dims/optimize/)
원희룡 국토부 장관도 최근 250만호 공급계획과 관련, 집값이 너무 올라 대출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에 "실수요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창의적인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며 한 예로 리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언급한 바 있다.
리츠 활용 방식은 주택공급에 따른 개발이익을 사업자가 독점하는 것을 막는 효과도 있다. 원 장관은 지난 대선 당시 '대장동 1타 강사'를 자처하면서 개발이익을 민간사업자가 독점하는 구조를 비판해왔다. 리츠는 부동산사업에 따른 개발이익을 투자자, 즉 일반국민들이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원 장관의 신념과도 궤를 같이 한다.
업계에선 리츠를 활용한 주택공급이 성공하기 위해선 민간이 참여할 충분한 유인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민관 공동사업인 만큼 민간에 적정한 수익을 보장해줄 수 있는 방법도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
민간의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용적률 완화, 취득세나 보유세 감면, 원가 수준의 택지매입비 등이 거론된다. 지분형 임대주택리츠를 통해 저렴하게 매입한 주택에 과도한 차익을 얹어 되파는 행위를 막을 수 있는 예방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