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앱클론 관계자는 "노바티스의 킴리아, 길리어드의 예스카타, BMS의 브레얀지(Breyanzi)등 현재 허가된 CD19 타겟 CAR-T 치료제는 모두 마우스에서 유래된 FMC63 항체를 사용하는 반면, h1218 항체는 상이한 에피토프(epitope)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인간화 항체"라며 "기존 치료제 대비 잠재적인 면역원성 감소를 기대할 수 있으며, 킴리아 등에 불응하는 환자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앱클론은 특허를 통해 h1218 항체 물질 및 용도에 대한 재산권을 보호 받고, 해당 기술의 가치 증대 및 기술이전을 통한 해외 사업화의 교두보 확보의 의미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이번에 등록이 결정된 일본 특허는 국내에 이은 해외 첫 특허이며, 미국과 유럽, 중국 등에서도 심사가 진행 중이다.
이와 별도로 '스위치 분자 및 스위처블 키메라 항원 수용체'에 대한 국내 특허도 지난달 12일 등록됐다. 2종의 어피바디가 특이적으로 결합(지퍼를 형성)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CAR-T 활성 조절 및 항원 표적 스위치 분자의 교환이 가능한 원리다.
앱클론 관계자는 "고형암 전용 CAR-T 치료제로서 전임상 개발이 진행중인 AT501 스위치 분자와는 또 다른 신개념 차세대 CAR-T 치료제 플랫폼 기술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