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뉴시스] 김병문 기자 = 5일 경기 고양시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에서 KTX 열차가 봄을 맞아 자동세척고를 통과하고 있다. 2022.04.05.](https://thumb.mt.co.kr/06/2022/05/2022053113305898664_1.jpg/dims/optimize/)
국토부는 철도 연구개발과 관련한 정책방향을 과거 공급·개발자 중심에서 수요자(국민)·산업계 중심으로 전환키로 했다. '스마트 철도안전시스템 기술개발 사업', '고속철도 사전급속형 급속개량 콘크리트 궤도 개발' 등이 주요 연구 과제다. 또 내수 중심에 머물렀던 국내 철도차량·부품산업의 발전을 위해 산업 선순환 구조와 민간시장 육성, 세계시장 관점과 통합적 육성이라는 4가지 혁신성장전략을 제시했다.
업계 "과도·중복 규제개선, 설계단가 현실화"…국토부 규제혁신 TF 구성·운영업계에서는 과도한 규제 개선과 설계단가 현실화 등을 건의했다. 철도용품 공인시험인 형식승인·제작자승인에 비용부담이 많고, 다년 납품 사업의 경우 유사한 항목에 대해 매번 승인을 받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 최근 원자재 가격이 상승했지만, 설계단가가 1~2년 전 납품단가로 반영되는 등 설계단가를 현실화 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도 요청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차량·부품제작사 9개, 신호제작사 7개, 궤도제작사 3개, 교통안전공단, 철도공단, 철도공사, 철도기술연구원 등이 참석했다.
국토부는 업계 요구사항 등을 포함해 제도개선을 위한 '철도산업 규제혁신 TF'를 별도로 구성·운영할 방침이다. 강희업 국토교통부 철도국장은 "제4차 국가철도망계획과 함께 최근 GTX, 지방광역철도 등 유례없이 많은 철도건설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며 "과도하거나 중복된 규제가 없는지 면밀히 검토하고, 설계단가 현실화 등 업계 지원방안도 검토하는 등 철도산업 발전을 위한 생태계 조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