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여행 각축전 시작…한국 관광경쟁력, 세계 16강

머니투데이 유승목 기자 2022.05.31 17:00
글자크기

세계경제포럼(WEF) 관광경쟁력 평가에서 종합 15위…'관광대국' 일본·미국·스페인은 나란히 1~3위 기록

방탄소년단의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Permission To Dance on Stage)’ 콘서트가 열린 지난 4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엘리전트 스타디움 앞에 마련된 한국관광공사 홍보 부스에서 외국인들이 한복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방탄소년단의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Permission To Dance on Stage)’ 콘서트가 열린 지난 4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엘리전트 스타디움 앞에 마련된 한국관광공사 홍보 부스에서 외국인들이 한복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


코로나19(COVID-19)로 숨죽였던 여행심리가 되살아나면서 각국이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물밑 작업으로 분주하다. 유엔세계관광기구(UNWTO)가 올해 국제관광시장이 코로나 이전의 절반 수준까지 회복할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본격적으로 하늘길이 열리기 시작하며 억눌렸던 여행수요가 봇물 터지듯 솟구치고 있어서다.

'굴뚝 없는 산업'으로 불리는 관광은 코로나 위기탈출을 노리는 한국경제의 활로로도 꼽힌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207억불의 수출액을 기록한 관광산업은 반도체·자동차·석유제품·차 부품과 함께 5대 수출산업에 이름을 올린 중요한 먹거리다. 새 정부가 '관광으로 발전하는 대한민국'을 국정과제로 삼고 경제발전 동력으로 만들겠단 뜻을 내비친 이유다. 그렇다면 '포스트 코로나'를 앞둔 한국 관광시장은 주요 관광선진국과 비교해 얼마나 경쟁력을 갖추고 있을까.



한국 관광 경쟁력, 세계 16강
'포스트 코로나' 여행 각축전 시작…한국 관광경쟁력, 세계 16강
31일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세계경제포럼(WEF)이 최근 발표한 '2021 관광발전지수 평가(TTDI)'에서 한국은 117개 평가대상 중 종합 15위를 기록했다. 세계 최고 권위의 관광 경쟁력 평가인 TTDI는 WEF가 관광과 관련한 다양한 사회·경제·문화 지표를 평가해 격년 단위로 순위를 매긴다. 2007년 첫 평가에서 42위를 기록한 이후 매년 순위가 상승한 한국은 이번 평가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뒀다.

당초 WEF는 관광경쟁력지수(The Travel & Tourism Competitiveness Index)를 활용했지만 이번 발표에서부터 TTDI(Travel&Tourism Developmetn Index)로 평가를 확대·개편했다. 코로나19로 급격하게 요동치는 시장 환경변화를 적극 반영하고,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산업 전반의 체질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단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TTDI는 기존에 사용하던 90개 지표 중 38개를 빼고 △기후·환경·온실가스, △디지털 플랫폼 활용도 △빈곤율·사회보장지출·성평등 등의 지표를 추가했다. '의료서비스 접근성'과 '전염병 발병률' 등도 도입했다. 당초 호텔 객실 수나 세계자연유산 수, ATM(현금 자동입출금기) 수 등 관광 자체에만 초점을 두고 평가했던 것과 달라진 대목이다. 관광이 사회·경제·문화 등 다양한 외생변수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이번 평가는 관광 뿐 아니라 사회 전반의 분위기와 경쟁력까지 가늠할 수 있다.

정광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존에는 국가 간 관광 경쟁우위를 가르는 데 집중했지만 이번 평가부턴 팬데믹으로 침체된 관광이 지속발전할 수 있는 동력이 무엇이고 이런 자원을 나라마다 얼마나 보유하고 또 발굴하고 있는지 초점을 맞췄다"면서 "이번 순위가 각 국의 관광시장 회복탄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20위권 국가 중 가장 큰 폭인 4계단이 상승한 한국의 순위는 의미가 있다"고 분석했다.

탄탄한 디지털 환경에 '한류' 콘텐츠, 관광 이끈다
'포스트 코로나' 여행 각축전 시작…한국 관광경쟁력, 세계 16강
이번 평가는 크게 △환경조성 △관광정책 △관광수요 촉진요인 △인프라 △지속가능성으로 경쟁력을 구분했는데, 한국은 '환경조성'과 '인프라', '관광수요 촉진요인'에서 두각을 보였다. 이 중 항상 강점으로 여겨졌던 항공·육상 인프라나 안전 및 보건, ICT 환경수준과 달리 관광수요 촉진요인의 상승세가 눈에 띈다.


관광수요 촉진요인 분야 하위부문인 '문화자원'에서 한국은 10위를 기록했다. 글로벌 관광객들이 한국문화에 매력을 느끼고 즐길만한 콘텐츠가 많다는 뜻으로, 한류열풍과 연관이 깊단 분석이다. 마이스(MICE)나 유명기업의 수 등 관광 외적인 측면에서 한국 방문을 이끄는 요인인 '여가 외 자원'도 최상위권을 기록했다.

관광지속가능성 분야 내에서 11계단 상승한 22위를 기록한 '관광수요 압력과 영향' 부문의 선전도 긍정적이다. 관광 체류일수나 문화명소에 대한 관심집중, 지리적으로 관광객이 분산된 정도 등 질적 측면의 관광 경쟁력을 측정한 부문이란 점에서다. 또 팬데믹 이후 글로벌 관광업계 최대 화두인 디지털전환 부문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은 만큼, 새로운 관광시장 창출도 기대된단 분석이다

다만 서비스 기반이나 관광산업 노동경쟁력, 환경적 지속가능성은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꼽힌다. 한국은 이번 평가에서 가격 경쟁력 부문이 2단계 떨어진 80위로 하위권을 기록했다. 호텔가격이나 렌트비, 유류비 등이 비싸단 뜻으로 관광객을 끌어모으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요인이다. 인적자원과 노동시장 부문도 3단계 떨어진 34위에 그쳤다.

관광 거버넌스 끌어올려야
전문가들은 이번 평가를 토대로 관광 거버넌스 전반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앞서 문화체육관광부는 코로나 여파로 200만명대로 떨어진 연간 외국인관광객 수를 2025년까지 2500만명으로 늘리겠단 목표를 제시했지만, 여전히 관광정책 우선순위가 뒤떨어진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실제 이번 평가에서도 정부 예산지출 등을 평가하는 '관광정책 우선순위' 부문이 7계단 상승하긴 했지만, 여전히 73위로 관광선진국과 비교하면 다소 뒤처진 수준이다.

이번 평가를 종합분석한 정광민 연구위원은 "한국이 선진국과 견줘도 밀리지 않는 관광·문화 자원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 환경보호, 성불평등 해소, 사회안전망 확충 등 관광 외적인 분야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관광 발전정책을 설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