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C용 백신 'V3'를 만든 안랩 (69,700원 ▲600 +0.87%)은 최근 블록체인 자회사 '안랩블록체인컴퍼니'를 설립했다. 이 회사는 자체 가상화폐 지갑을 개발 중이다. 기존 가상화폐 지갑은 개인 키와 지갑을 복구할 때 필요한 일종의 비밀번호인 '니모닉' 등을 사용자가 직접 보관해야 하는데, 니모닉조차 분실하면 지갑에 저장한 가상화폐는 영영 찾을 수 없다. 반면 안랩블록체인컴퍼니의 지갑은 처음부터 니모닉 없이 안전한 환경을 구현, 개인 키를 잃어버려도 사용자 인증을 통해 새 개인키를 발급받도록 할 계획이다.
NFT 보안 꽂힌 이유…"'캐시카우' 솔루션 넘어 성장동력 확보"

반면 가상화폐와 NFT는 메타버스 열풍을 타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블록체인 분석기업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 1일까지 전 세계 NFT 플랫폼으로 전송된 가상자산 규모는 약 370억 달러(한화 46조8000억 원)다. 지난해 전체 거래액은 400억 달러(50조7000억 원)로, 올해 상반기 중 지난해 기록을 넘어설 전망이다.
특히 NFT 시장은 보안업계엔 블루오션이다. 쏠리는 자금과 관심만큼 해커들도 모여들고 있어 NFT와 메타버스 환경에 최적화한 보안 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 체이널리시스가 최근 펴낸 '2022 암호화 범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범죄에 연루된 가상화폐 지갑에 140억 달러(약 16조7969억원)가 전송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78억 달러, 약 9조3582억원)보다 79% 증가한 규모다.
한 보안업계 관계자는 "기존 백신 등 솔루션 시장은 이미 경쟁도 치열하고 시장 자체가 커질 여력이 없다"며 "디지털 전환이 화두로 떠오르고, 메타버스와 NFT 등 디지털 가상환경으로 산업 축이 옮겨가는 만큼 회사 성장을 위해 뛰어들지 않을 수 없는 분야"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