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 지나는 롯데케미칼···고부가·친환경 사업 육성 '뚝심'

머니투데이 김성은 기자 2022.05.13 17:37
글자크기
터널 지나는 롯데케미칼···고부가·친환경 사업 육성 '뚝심'


롯데케미칼이 올해 상반기 유가 등 원자재가 상승 탓에 수익 부진의 시기를 지난다. 회사는 휘발유 등 정유제품 성수기가 지나가는 하반기부터 원가 안정화에 따른 업황의 제한적 개선을 조심스레 예측하는 한편 이차전지 소재 등 친환경 신성장 사업 육성에의 강한 의지도 드러냈다.

대외 불확실성 상반기 지속···"하반기 제한적 업황 개선 기대"
롯데케미칼은 13일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대비 34% 늘어난 5조5863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86.8% 감소한 826억원이라고 13일 공시했다.



분기 기준 사상 최대 매출액을 올렸지만 이익률은 다소 부진했다. 1분기 유가가 급등하는 등 원자재가 상승 탓이 가장 컸다.

롯데케미칼은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도 지속적 사업포트폴리오 최적화 및 제품 경쟁력 강화, 안정적인 고객처 확보를 통해 분기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며 "국제유가 폭등, 중국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봉쇄조치 등 외부 변수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수익성은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5월에도 유가가 지속적으로 배럴당 100달러 이상을 기록중인데다 롯데케미칼 시설 정기보수 일정도 있어 상반기에는 큰 폭의 실적 회복을 기대하긴 어렵다. 다만 하반기로갈수록 상황이 개선될 것이란 기대다.

롯데케미칼 측은 매출에서 가장 큰 부문을 차지하는 기초소재(올레핀, 아로마틱) 2분기 사업 전망에 대해 전분기 대비 일부 제품 스프레드 개선이 예상되지만 대외 변수에 따른 시장 불안정성 지속으로 업황이 약세일 것으로 봤다.

올해 1분기 기초소재 부문 매출액은 3조4747억원, 엉업이익은 170억원이었다.


또 정기보수로 인한 기회손실에 대해 회사 측은 "올해 1분기 미국 및 파키스탄 정기보수로 약 200억원의 기회손실 발생했다"며 "2분기에는 여수 공장의 정기보수로 약 500억원~600억원의 기회손실이 예상되고 첨단소재사업부분 약 100억~150억원의 기회손실 예상된다"고 밝혔다. 2분기 중 총 정기보수로 인한 기회손실약은 600억~700억원이 예상됐다.

하반기로 갈수록 업황은 개선될 것이란 기대다.

회사 측은 "하반기 제한적으로 업황이 개선될 것"이라며 "러시아산 석유제품 재편에 따른 안정화가 기대되고 높은 정유 가동률과 여름 휘발유 소비 시즌 종료 후 나프타 가격 안정화, LPG(액화석유가스) 저가 유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완화와 경기 부양에 따른 석유제품 수요 회복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롯데케미칼은 올해 대표 석유화학제품인 폴리에틸렌(PE) 제품에 대해서는 350만톤, 폴리프로필렌(PP) 제품에 대해서는 510만톤의 증설 계획이 있음을 알렸다. 중동 및 중국을 중심으로 한 증설이다.

이차전지 소재 사업 투자 예정대로···"전해액 유기용매 이익률 20% 예상"
이날 회사 기업설명(IR)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이차전지 분리막용 소재를 이미 판매 중이다. 국내 최초 전해액 유기용매 설비를 2023년 말 준공 목표로 현재 투자를 진행중이다.

이차전지 소재 및 판매에 대한 상세 전망도 공유됐다. 회사 측은 "2023년 말 기준 분리막용 소재 판매량은 약 7000톤, 매출액은 150억원 수준이 될 것"이라며 "전해액 유기용매는 준공 완료 후 풀생산시 매출액 1500억원, 이익률 20%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케미칼은 또 올해 인도네시아 라인(LINE) 프로젝트 투자 1조2000억원을 비롯해 다양한 친환경 사업 지분 및 신증설 투자 등에 총 2조5000억원의 캐펙스(CAPEX·자본적지출)를 예상했다.

한편 기존 화학 사업에 대해서도 고부가가치 제품·지역에 집중해 체질을 개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PE와 PP 제품 모두 고수익 판매지역으로 여겨지는 미국과 유럽에 집중한다. 올해 유럽, 미주 지역 판매 비중이 40% 이상을 기록할 전망인데 이는 과거 중국 시장과 비교시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첨단소재사업 역시 현재 ABS(고부가합성수지) 제품 중 고부가 제품 비중이 이미 90% 이상이고 PC(폴리카보네이트)는 고부가제품 비중이 올해 상반기 50% 수준에서 연말 60% 수준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