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000억원 적어낸 KG그룹에 높은 평가...채권변제율 관건앞서 쌍용차 인수에 나섰던 에디슨모터스는 인수대금 2743억원을 기간 내 납부하지 못했다. 한차례 더 매각이 무산될 경우 쌍용차는 회생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인수대금 규모와 자금 조달 확보 계획을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쌍용차는 "에디스모터스와의 M&A 실패를 거울삼아 인수대금 및 인수 후의 운영자금에 대해서는 그 총액 규모뿐만 아니라 제시된 자금조달 계획의 조달 증빙과 투입 형태 등에 대해 각각의 가중치를 부여해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고용승계 불안감...투자도 꾸준해야
실적 개선과 동시에 전동화 전환에 대한 투자를 함께 해야 한다는 부담도 있다. 쌍용차의 지난해 매출액은 2조4293억원으로 전년대비 17.7% 감소했고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각각 2962억원, 2929억원으로 집계됐다. 손실폭을 전년대비 줄이긴 했지만 적자상태를 이어가면서 전액 자본잠식을 탈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전동화 전환에 대한 투자에도 대규모 자금이 필요할 것이란 전망이다. 현재 쌍용차는 중형 SUV J100 출시를 앞두고 있고 글로벌 전기차 기업인 BYD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내년 하반기에 전기차 U100을 출시하는 등 실행방안은 구체화 돼 있다. 이를 모두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단위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KG그룹이 자동차 제조 경험이 전무하고 미래차 전환에 대비한 전문성 확보 여부가 불분명하다는 점도 대규모 투자와 함께 우려스러운 대목으로 거론된다.
KG그룹은 이날 "쌍용차를 조속히 정상화시켜 자동차산업 경쟁력 강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인수 의지를 드러냈다. 이어 "아직 조건부 인수예정자이기에 앞으로 남은 인수 절차에 문제가 없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