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신약 만들어보자"…尹정부 경제수석 내정에 바이오 들썩인다

머니투데이 안정준 기자 2022.05.02 13:57
글자크기

최상목 수석 내정자, 일동홀딩스 사외이사 3년…경제·금융 전문성에 제약·바이오 내공 더했다

2017년 4월 14일 당시 최상목 기획재정부 차관이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범정부 비상경제대응TF 회의를 주재 하고 있다./뉴스12017년 4월 14일 당시 최상목 기획재정부 차관이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범정부 비상경제대응TF 회의를 주재 하고 있다./뉴스1


차기 정부 대통령실 경제수석으로 임명된 최상목 전 기획재정부 차관이 일동제약그룹 지주사인 일동홀딩스 (8,700원 ▲10 +0.12%) 사외이사로 3년간 재직한 것으로 확인됐다. 신약 개발 관련 이사회 보고사항을 꼼꼼히 검토했다는 후문이다. 정통 경제 관료 출신으로서의 경제·금융 전문성에 제약·바이오 산업 내공을 더한 인물이 차기 대통령실 '경제 브레인'에 내정됐다는 점에서 업계 기대가 크다. 바이오·헬스를 미래 먹거리의 한 축으로 삼은 차기 정부 정책이 탄력을 받을 수 있게 됐다는 것.

2일 업계에 따르면 최 수석 내정자는 일동홀딩스 사외이사로 2019년 4월 1일부터 올해 3월 22일까지 활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3월 사외이사로 재선임된 최 수석 내정자는 이번 임기를 1년여 앞둔 올해 3월 초 회사측에 일신상의 이유로 자진 사퇴할 뜻을 전달하고 같은 달 22일 퇴임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 수석 내정자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간사로 선임된 것은 올해 3월 15일. 업계에서는 '이해충돌'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발빠르게 사외이사직에서 스스로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외이사 사임 후 인수위 활동기간 경제부총리, 금융위원장 하마평이 나왔던 최 수석 내정자는 전일 대통령실 경제수석 내정이 확정됐다.

최 수석 내정자는 일동홀딩스 사외이사 활동기간 이사회에서 연구개발 중심 바이오벤처 설립과 의료정보 플랫폼 기업 설립, 신약 바이오벤처와의 제휴를 위한 주식 인수 등의 의안을 검토했다. '보류' 의견을 낸 의안도 있었다. 회사 안팎에서는 최 수석 내정자가 기업의 사업 방향과 이를 뒷받침할 재무구조 등 의안 검토를 상당히 꼼꼼하게 했다는 말이 나온다.



최 수석 내정자가 일동홀딩스 사외이사로 활동한 3년은 일동제약그룹이 기업 분할 후 '신약' 중심 체질변화를 강도높게 추진하던 시기와 맞물린다. 2019년 500억원대였던 핵심 계열사 일동제약 (15,280원 ▲210 +1.39%)의 연구·개발(R&D) 투자는 2020년 700억원대로 올랐고 2021년에는 1000억원을 넘겼다. 2형 당뇨병 치료신약 'IDG16177'을 필두로 그동안 수면 아래 있던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개발에 속도가 붙은 결과다. 그룹의 방향이 '신약'으로 설정된 가운데 그룹 전체를 조망하는 지주사 이사회에서 핵심 의사결정의 타당성을 검토했던 셈이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경험을 발판으로 경제·금융 전문가인 최 수석 내정자가 경제의 한 축인 기업, 그 중에서도 제약·바이오산업의 이해도를 끌어올렸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985년 행시 29회로 공직 생활을 시작한 최 수석 내정자는 '엘리트 관료', '천재 관료'로 통했다. 기획재정부의 전신인 재정경제부에서 증권제도과장, 금융정책과장을 맡았고 기재부 정책조정국장, 경제정책국장,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 기재부 1차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금융 정책 관련 주요 업무를 섭렵했다. 특히 기재부 1차관 시절에는 규제개혁과 무역투자진흥 등의 물꼬를 텄다.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코넬대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역대 정부에서 주요 경제 정책 결정권자들 중 제약·바이오산업 관련 경험을 쌓은 인물은 찾아보기 어려웠다"며 "성장 가능성은 높지만 대표적 규제산업이기도 한 제약·바이오의 기회와 한계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전 정부와 마찬가지로 윤석열정부도 바이오·헬스 분야를 미래 먹거리의 한 축으로 삼아 '바이오 헬스 한류시대' 개막을 국정과제로 삼은 상태다. 병원, 기업, 정부가 협업하는 '제약 바이오 혁신위원회'를 신설하고 바이오헬스 특화 규제 샌드박스(일정 기간 새 제품과 서비스에 기존 규제를 면제)를 운영하기로 했다. 특히 제약·바이오 산업이 기술 수출에 머무르던 한계를 벗어나 자력으로 혁신 신약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로벌 메가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 같은 청사진이 실제 업계 현실에 대한 높은 이해와 맞물려야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 제약·바이오업계 공통된 의견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