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도식 사회복지문화분과 인수위원은 2일 서울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관광 분야 국정과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민·관 합동 관광정책 협의체 신설…'관광진흥법'도 개정새 정부는 관광 분야 '회복 → 재건 → 비전 실천'을 통해 '여행으로 행복한 국민, 관광으로 발전하는 대한민국'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금융 및 재정지원 △법·제도·협의체 정비 △관광 활성화 프로젝트 기획 △지역 특화 관광자원 개발 △스마트한 디지털 관광기반 조성 등을 국정과제로 발표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법과 제도도 정비한다. 1987년 제정된 '관광진흥법'에 관광지원서비스 등 새로운 형태의 관광 기업이 포함될 수 있도록 개정하는 등 법·제도를 개선한다. 관광기금확대 및 재해에 대비한 재난안전계정 신설도 검토할 예정이다.
민·관 합동 관광정책 협의체도 신설한다. 업계의 상황과 애로사항, 포스트코로나 시대 관광산업 활성화 논의를 위해서다. 전문가, 업계, 협회 등과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속적인 소통채널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근로자휴가지원사업 수혜대상을 현 10만명에서 확대할 예정이다. 김 인수위원은 "지금의 수준에서 한 50% 이상 상향하는 쪽으로 (인원을) 확대시켜 나가겠다는 것"이라며 "보통 여행 경비를 산출해보면 개인당 86만원 나온다. 그 경비의 반 이상을 정부가 지원하도록 확대하는 방향으로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광 벤처기업 육성에도 힘쓴다. 관광기업 육성펀드를 2027년 5000억원까지 확대해 글로벌 선도기업 200개 등 관광벤처 고도성장을 지원한다. 이와 더불어 현재 4개소인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을 2027년까지 50개소로 확대할 예정이다.
체육 성과 현금처럼 쓰는 '스포츠 마일리지' 제도…연간 5만원

체력 인증이 가능한 11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한다. 최초 체력 인증 후 등급 향상 정도, 스포츠클럽 등 체육 참여활동에 대해 적립형 마일리지를 지급한다. 이를 위해 체력을 측정할 수 있는 국민체력100센터(현재 76개소)를 매년 10개소씩 증설할 계획이다.
1인당 연간 최대 5만원의 마일리지를 지급한다. 2027년 50만명 지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마일리지는 가맹 스포츠클럽, 체육시설, 스포츠용품점, 문화시설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