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한 감염병이 지나간 다음엔 당장 돈이 되지 않으면서 장기간 큰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 백신 원천기술이나 플랫폼 개발 열기가 식기 때문이기도 하다. 팬데믹이 아닌 환경에서 이익 창출이 어려운 백신 개발을 기업에 강제할 수도 없다. 또 현실적으로 우리 정부나 기업의 백신 개발 경험과 노하우가 주요 글로벌 기업보다 떨어지는 한계도 분명히 있다.
특히 지금처럼 형식적인 정부 과제 위주의 일부 비용 지원이 얼마나 효과를 볼 수 있을지 회의적이란 시각이 적지 않다. 무엇보다 전문가가 전면에 나서 가능성을 갖춘 기업이나 기술을 선별하고 집중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선행돼야 한단 지적이다.
또 코로나19의 변이가 계속 일어나고 최근 세계 시장에서 백신 개발의 트렌드가 감염 예방에서 변이 대응, 면역반응 지속 기간 확장, 중증화 방지 등으로 바뀌고 있는 만큼 지금 국내에서 임상 1~2상에 돌입한 백신 개발에만 몰두하기보다 장기적인 안목을 통한 기초 연구 지원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나온다.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또 각종 사업단 등 우후죽순 흩어진 백신 개발 관련 정부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전문가가 지휘하는 통합적인 연구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단 의견도 있다.
김우주 대한백신학회장(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은 "5년간 2조2000억원은 적은 돈이 아니다"라며 "각 부처와 사업단, 기관이 재원을 여러 기업에 나눠먹기식으로 제각각 지원하는 지금 방식으로 백신 원천기술 확보는 요원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코로나19 팬데믹 국면에서 여러 기업이 정부 지원을 받고 백신 개발에 나섰지만 국제기구 지원을 받은 SK바이오사이언스 말고 어떤 성과가 있냐"며 "여러 부처에서 연구개발을 중복적, 중구난방식으로 하는 비효율 체계에서 탈피하고 일관된 연구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기적 안목으로 부처 칸막이 없애고 전문가가 주도해야김 회장은 특히 정권이 바뀌더라도 지속적인 연구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정부의 백신 개발 지원을 주도하는 부처에 전문가가 부족하단 쓴소리도 잊지 않았다.
김 회장은 "정부와 정치권이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백신에 숟가락 얹을 생각만 하지 말고 10~20년 장기적으로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연구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며 "앞으로 정권이 바뀌고 코로나19가 종식되면 또 백신 개발 지원 이야기가 쏙 들어가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또 "각 부처에서 백신 개발 지원을 담당하는 자리도 대부분 행정고시 출신의 관료가 돌아가면서 맡는다"며 "정부 백신 담당자가 전문가도 아닌데 매번 바뀌니 성과가 나오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문가가 지휘하는 백신 전담 조직을 만들고 다른 부처 간섭을 받지 않는 구조를 정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 대한백신학회 부회장인 마상혁 경상남도의사회 감염병대책위원장은 먼저 우리의 한계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조언했다.
마 위원장은 "우리 정부 각 부처에 백신 전문가가 부족하고, 백신 및 신약 개발 제도와 행정을 담당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인력도 많지 않다"며 "우리 기업 중 백신 개발 역량을 갖춘 곳도 많지 않고 CRO(임상시험수탁기관) 역량도 떨어진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에선 코로나19 2가백신을 개발한다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우한 바이러스 기준의 백신 임상 1~2상을 하고 있다"며 "정부가 어떤 업적을 남기기 위해 가능성이 크지 않은 기술이나 기업에 무작정 지원한다고 백신을 만들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또 "지금까지 정부가 지원한 코로나19 백신이나 치료제 연구 비용이 어떤 결과로 나타난 게 하나도 없다"며 "무엇보다 연구 비용 지원에 앞서 기술력을 충분히 검증해 될성부른 떡잎을 선별 지원해야 하고, 개발 과정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국내 한 백신 회사 대표 A씨는 우리 정부가 연구 비용을 지원한 백신 중 실제 상용화로 이어질 후보물질이 얼마나 될지 의문이라며 걱정했다. 정부가 백신 개발 지원을 중단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지금 개발 중인 백신 후보물질이 얼마나 가능성이나 경쟁력을 갖췄는지 장담할 수도 없는 딜레마 상태란 평가다.
A씨는 "코로나19는 너무 갑자기 왔고, 우리나라는 사실 세계에서 통할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 보기에 다소 무리가 있다"며 "정부의 국산 백신 개발 목표에 따라 여러 기업이 도전했지만 지금까지 결과만 보면 만족스럽다 표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산 백신 개발에 정부가 많은 자원을 투자하겠단 계획은 좋지만 실제 우리 기업 중 그만한 역량을 갖춘 회사가 있는지 장담하기 어렵다"며 "여러 기업과 기관, 학교, 연구소 등에서 많은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지만 실제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잘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A씨는 "지금까지 코로나19 팬데믹 국면에서 우리 정부가 투자한 비용이 최소 백신 원천기술 축적에 도움이 됐는지도 장담할 수 없다"며 "정부가 단기적으로 당장 코로나19 국산 백신 개발이란 목표에 매몰되지 말고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백신 플랫폼이나 원천기술 확보에 힘을 쏟길 바란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