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같은 맥락에서 8개 부처(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국방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면면을 보면 이른바 '3대(민생·협치·실력) 기준'이 최우선으로 작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키워드로 설명이 가능한 인사는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인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다.
추 후보자는 "새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서민 생활물가와 민생 안정"이라면서 " 만약에 정부가 공식 출범하면 경제 장관들이 '원팀'이 돼서 당면 현안인 물가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두면서 풀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원 후보자는 대선에서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의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제기를 주도하며 '대장동 1타 강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사법·입법·행정을 모두 경험한 만큼 정무감각도 갖췄다.
원 후보자는 "국민들의 고통과 눈높이를 국토, 부동산, 교통 분야에서의 전문가들과 잘 접맥시켜서 국민과 함께 국민 전체, 국민의 꿈을 실현시키고 고통을 더는 데 정무적 중심, 종합적 역할을 하란 뜻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尹 당선인 반도체 관심 산업부·과기부 인선으로 드러나...국방는 '한미 동맹' 산업통상자원부(이창양 KAIST 교수·인수위 경제2분과 간사)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종호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소장)장관 후보자는 철저하게 전문성만 보고 발탁했다는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 후보자는 SK하이닉스에서 8년 간 사외이사를 역임했고 이종호 후보자는 비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표준인 '벌크 핀펫'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무엇보다 반도체 산업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 윤 당선인의 의중이 그대로 반영된 인사라는 평가다. 윤 당선인은 지난 7일 주한미군 평택기지인 캠프 험프리스를 헬기로 이동할 당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보고 "반도체 산업 등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인 첨단 산업들을 더 발굴하고 세계 일류로 키워내겠다"고 말했다.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와,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도 전문성을 인정받았다는 목소리가 인수위 안팎에서 높다. 실력이 있다면 진영을 가리지 않는 것은 물론 연령·성별·학벌·출신 지역 등도 '할당제'로 삼지 않겠다 것이 윤 당선인의 원칙이다.
윤 당선인은 초대 내각 후보자 발표 뒤 가진 일문일답에서 '대선 때 30대 장관이 나올 것으로 말했는데 지명자들의 다양성이 부족해 보인다'는 질문에 "저는 선거운동 과정에서부터 할당이나 안배라는 것은 하지 않겠다고 말씀드렸다"며 "국가와 전체 국민을 위해 해당 분야를 잘 맡아 이끌어주실 분이신지 기준을 두고 선정해서 검증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각 부처를 가장 유능하게 맡아서 이끌 분을 찾아 지명하다 보면 대한민국의 인재가 어느 한쪽에 쏠려 있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지역, 세대, 남녀가 균형있게 잡힐 것"이라면서 "어차피 지명해야 될 공직은 많다"며 향후 조각을 지켜봐줄 것을 당부했다.
윤 당선인은 북한의 7차 핵실험 등 고강도 도발에 대응해야 하는 동시에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따른 '군심'도 달래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국방부 장관 후보자로 이종섭 전 합참차장(예비역 중장)을 발탁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윤 당선인은 이 후보자에 대해 "야전 지휘관과 국방부 합참에서 주요 요직을 두루 거쳤고, 군사작전과 국방정책 분야에서 탁월한 전문성을 인정받은 분"이라면서 "합참 한미연합방위추진단장을 지내며 안보 동맹에도 큰 기여를 했다. 튼튼한 안보와 강력한 국방력 구축하면서 동맹국과도 긴밀한 공조 이뤄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소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