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기부는 2020년부터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산업을 '빅3 혁신분야'로 정하고 관련 스타트업을 선정해 최대 6억원의 사업화자금과 연구개발(R&D)비용 등을 지원하고 있다. 2020년에는 250개사가, 올해 100개사가 선정됐다.
대책으로는 스타트업이 회사 지분을 더욱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3D 공간정보 데이터 플랫폼을 개발한 박일석 스트리스 대표는 "스톡옵션 제도는 언제 현금화할 수 있을지 불투명해 매력이 떨어진다"며 "당장 직원들에게 주식을 배분하는 방법도 있으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톡옵션 제도 개편 건의도 나왔다. 합성신약을 개발하는 이노보테라퓨틱스의 박희동 대표는 "스톡옵션을 행사하면 즉시 근로소득으로 과세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기타소득으로 과세 전환을 위해 회사 퇴사를 고민하는 직원까지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행사시점이 아닌 매도시점에 과세하는 방안도 고민해달라"고 덧붙였다.
인재들의 대기업 이동을 막을 수 없다면 트레이딩 제도를 도입해 중소기업에도 혜택을 달라는 주장도 나왔다. 고재간 램쉽 대표는 "프로야구 구단이 선수를 사가면 기존 구단에 트레이드 비용을 지불하듯 트레이드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도 마련되면 좋겠다"고 전했다. 중기부는 이 같은 의견들을 수렴해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권 장관은 "빅3분야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미래동력"이라며 "인력확보 등 스케일업을 위한 지원책들을 더 고민해보고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