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림어스는 올해 상반기 중으로 플로를 누구나 콘텐츠를 만들어 올릴 수 있는 오픈 플랫폼으로 전환한다. 음악과 오디오 콘텐츠 서비스를 넘어 아티스트와 크리에이터가 창작활동을 통해 팬덤을 만들고, 크리에이터와 팬덤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 수익화할 수 있는 L2E(Like to Earn)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또 글로벌 IP 투자 전문 회사 비욘드뮤직을 비롯해 피네이션, 알비더블유(RBW), 메이크어스 등의 제작사에 대한 투자도 진행한 바 있다. 드림어스는 파트너들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L2E 생태계를 만들고, 아티스트·크리에이터·팬덤 간 교류와 창작 활동이 유형의 자산으로 보상받고 수익화 가능한 새로운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플로를 중심으로 테크·콘텐츠 파트너들과의 얼라이언스를 통해 드림어스컴퍼니는 새로운 콘텐츠 창작·소비 환경인 L2E 생태계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생태계의 중심이 될 IP 확보 및 생산에도 더욱 속도를 높이고, 크리에이터, 팬덤과 함께 빠르게 성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