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인수위 업무 본격화…과학계 '文의 사람들'은 어디로

머니투데이 김인한 기자 2022.03.22 18:10
글자크기

[the300]

왼쪽부터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과 김제남 한국원자력안전재단 이사장. / 사진=뉴스1왼쪽부터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과 김제남 한국원자력안전재단 이사장. / 사진=뉴스1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 과학기술교육 분과 위원들이 업무에 본격 착수한 가운데,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을 강행했던 '민주당 라인' 과학계 수장들의 거취에 관심이 쏠린다.

22일 과학계에 따르면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원장과 김제남 한국원자력안전재단 이사장은 '문재인의 사람'으로 분류된다. 문 원장과 김 이사장 모두 선임 과정에서 임명을 철회해야 한다는 연구계 평가를 받았던 인물이다.



특히 지난해 1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선임 당시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은 이례적으로 성명을 내며 "문미옥 전 차관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자격이 없다"며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정책, 정부출연연구기관 정책의 한가운데에서 이를 좌지우지했던 인물로 지금이라도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마땅하다"고 했다.

문 원장은 문재인 정부 초대 과학기술보좌관을 거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을 역임하며 '과학기술 정책'을 총괄했다. 문재인 정부는 연구 현장에 주52시간 제도와 블라인드 채용을 일괄 적용하며 논란을 만들었다. 문 원장은 지난해 2월 원자력살리기국민행동(시민단체)으로부터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 당시 탈원전을 주도한 인물 중 한 명이라며 검찰에 고발 당하기도 했다.



김제남 원자력안전재단 이사장은 임기말 '알박기 인사'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그는 지난달 이사장으로 공식 임명되며 3년 임기를 시작했다. 그러나 원자력계는 전문성은 물론 업무 관련 객관성이 떨어지는 인사라며 반발했다.

김 이사장은 앞서 시민단체인 녹색연합 사무처장과 정의당 탈핵에너지전환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대표적인 반핵 인사다. 현 정부에선 대통령비서실 기후환경비서관과 시민사회수석을 지냈다. 원자력안전재단은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산하 기관으로 원자력·방사선 안전 규제 등을 수립하고, 원안위 연구기금도 관리 집행하고 있다.

과학계와 원자력계 주요 보직에 문재인 정부 인사가 포진함에 따라 차기정부에서 거취 정리가 어디까지 이뤄질지 관심이 쏠린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과학과 정치를 분리하겠다고 공언해 인적 쇄신 여부는 미지수다.


이 외에도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과 이경수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의 거취도 주목된다. 임 장관은 지난해 1월까지 민주당 당적을 유지하다가 탈당 8일 뒤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으로 임명됐다. 그는 NST 이사장 임명 3개월만에 과기정통부 장관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논란이 일었다. 다만 이경수 혁신본부장은 핵융합 분야 최고 전문가로 연구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유임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왼쪽부터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 / 사진=뉴스1왼쪽부터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 / 사진=뉴스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