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발 LNG값 폭등 예고...한전 '역대급 적자' 위기

머니투데이 세종=민동훈 기자 2022.03.08 14:56
글자크기
(모스크바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4일 (현지시간) 스크바 외곽의 노보-오가르요보 관저에서 화상으로 열린 페리선 로코솝스키 제독호의 운항식에 참석을 하고 있다.  (C) AFP=뉴스1  (모스크바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4일 (현지시간) 스크바 외곽의 노보-오가르요보 관저에서 화상으로 열린 페리선 로코솝스키 제독호의 운항식에 참석을 하고 있다. (C) AFP=뉴스1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는 초강수를 검토하자 러시아가 유럽에 대한 천연가스 공급 중단을 천명하면서 '제3차 오일쇼크(oil shock)'가 임박했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연일 국제유가가 치솟는 가운데 지난달 국내 전력도매가격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에너지 위기가 가시화되는 모습이다. 최악의 경우 국제유가가 300달러까지 치솟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어 이미 지난해 6조원 가까운 적자를 기록한 한국전력공사가 올해 역대급 적자를 기록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8일 한국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육지부·제주 총 평균 전력계통한계가격(SMP)은 KWh당 197.32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2년 7월 185원을 넘어선 역대 최대치다. 1월 평균가격(154.42원)과 비교했을 땐 약 28% 가량 증가했다. 2020년 11월 한때 50원까지 급락했던 것과 비교하면 4배 가까이 뛴 것이다.



한전은 SMP를 기준으로 발전사로부터 전력을 구매한다. 즉 SMP 가격 상승은 한전의 전력매입 비용을 증가시켜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최근 SMP의 폭등은 지난해 하반기를 기점으로 상승세를 보이던 국제유가가 최근 러이사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상승폭을 더욱 키운 탓이다. 발전사의 LNG 가격은 국제유가와 연동되고 있어 원가 부담이 커진 상황이다.

두바이유는 7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배럴당 125.1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 거래일 대비 16.35달러 급등한 가격으로 2000년대 이후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6일 ICE 런던거래소에서 거래된 브랜트유 5월 인도분은 장중 한 때 배럴당 139.13달러까지 오른 뒤 120달러선으로 내려오기도 했다.



(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서울의 한 다세대 주택에 설치된 전기계량기에 숫자가 표시되고 있다. 2021.6.21/뉴스1  (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서울의 한 다세대 주택에 설치된 전기계량기에 숫자가 표시되고 있다. 2021.6.21/뉴스1
향후 전망도 비관론이 우세하다. 당장 미국은 하원을 중심으로 러시아산 원유 등의 금수조치를 논의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미국 하원은 이르면 8일(현지시간) 러시아산 에너지의 수입을 금지하고 러시아와 일반 무역 관계를 중지하는 내용의 법안을 처리할 것을 보인다. 당장 독일 등 유럽은 미국의 금수조치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미국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산유국에 증산을 추가로 요청하거나 베네수엘라 등으로부터의 대체 수입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러시아가 미국 등 서방 세계의 제재에 맞서 유럽으로 향하는 가스관을 잠글 경우 국제유가가 30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실제로 이날 블룸버그통신, 러시아 관영 리아노보스티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알렉산드르 노박 러시아 에너지 담당 부총리는 "러시아는 여전히 에너지 공급에 관한 의무를 전적으로 이행하고 있지만, 동시에 유럽의 러시아 에너지 거부에 대해서도 준비돼 있다"며 "유가 폭등이 예상을 뛰어넘을 것이다. 배럴당 300달러 이상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경우 원유, 천연가스를 수입에 거의 대부분을 의존하고 있는 한국은 오일쇼크에 준하는 에너지 위기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 그나마 원유의 경우 미국의 요구에 따라 비축유를 방출할 수 있을 정도로 여유를 갖고 있지만 9일치만 비축하고 있는 LNG의 경우 사정이 다르다.
국내 LNG 수입분의 약 80%가 유가에 연동돼 있는 장기계약 형태로 수입 됨에 따라 고유가 지속시 국내 전기요금(LNG발전)과 도시가스가격 상승압력의 심화가 불가피하다.


유럽의 비 러시아산 LNG 수요 증가가 아시아 LNG 현물가격 상승을 부추길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미국의 금수조치가 실제로 실행될 경우 한국이 카타르 등으로부터 도입키로 했던 LNG 물량의 일부를 유럽으로 돌려야 할 수도 있다. 앞서 미국은 일본과 한국 등에 '천연가스 스와프(맞교환)'을 제안한 바 있다. LNG 현물가격까지 뛴다면 LNG 장기도입 계약에 따른 효과 상쇄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LNG 발전을 가동하는 한전의 발전 자회사들은 원가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 한전 역시 SMP 가격 상승에 따른 전력 매입비용 증가로 실적에 부담이 된다. 이미 지난해부터 국제유가가 상승세로 돌아섰지만 전기요금을 제때 올리지 못한 탓에 6조원에 가까운 적자가 쌓인 상태다. 증권가에선 올해 한전이 최대 10조원 이상의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이전에 예측한 실적치다. 전날 신한금융투자는 한전의 올 영업손실 규모가 18조90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한전은 지난해 사상 최악인 5조8601억원(연결기준·잠정치)의 영업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