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파리~인천 여객기, 식물성 기름 연료 쓴다

머니투데이 이강준 기자 2022.02.18 09:56
글자크기
파리-인천 노선에 투입되는 보잉 777-300ER 항공기/사진제공=대한항공파리-인천 노선에 투입되는 보잉 777-300ER 항공기/사진제공=대한항공


대한항공이 파리-인천구간 국제선 정기편 노선에 국내 최초로 지속가능 항공연료(SAF)를 도입한다고 18일 밝혔다.

SAF는 석유, 석탄 등 기존의 화석 자원이 아닌 동물성·식물성 기름, 해조류, 도시 폐기물 가스 등 친환경 원료로 만들어진 항공유다. 기존 항공유보다 2~5배가량 비싸다고 알려졌으나, 원료 수급부터 소비까지 전 단계에서의 탄소 배출량을 항공유에 비해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SAF는 항공업계의 주요 탄소감축 수단으로 최근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생산 및 공급을 위한 움직임이 확대된다. SAF의 사용량은 생산시설과 공급망 부족으로 아직 전 세계 항공유의 0.1% 수준에 불과하지만, 최근 프랑스 정부는 자국 내 항공유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최소 1%의 SAF를 혼합하여 공급하도록 법제화했다.



대한항공은 비용증가 우려에도 항공산업의 탄소배출 감축과 친환경 연료로의 전환 필요성에 공감해 파리-인천 정기편 노선에 SAF 도입을 추진한다. 2017년 11월 국내 최초로 SAF를 사용 미국 시카고-인천 구간을 한차례 운항했지만, 정기편 노선에 SAF를 도입하는 건 지속가능 경영에 대한 대한항공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라는 평가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현대오일뱅크와 바이오항공유 사용기반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SK에너지로부터 국내선 항공편에 사용될 탄소중립 항공유도 구매했다.



또한 지난 2월 인천국제공항공사, 에어버스, 에어리퀴드와 '항공업계와 공항의 수소 공급 및 인프라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을 체결하는 등 탄소 감축 행보에 박차를 가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국내외 운항노선의 SAF 도입을 포함 다양한 부문에서 탄소 감축 및 기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등 ESG 경영에도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