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앤알바이오팹과 서울아산병원은 2019년부터 안면부 종양 제거, 롬버그 증후군, 골화섬유형성이상 등으로 인해 안면부 재건이 필요한 환자 8명을 대상으로 3D 바이오프린팅을 이용해 환자 개별 상황에 맞춘 인공지지체를 설계 및 제작한 뒤 결손 부위에 이식하는 수술을 진행했다. 수술 뒤 설계 수준 대비 평균 79.71%의 정확도를 유지했다. CT 분석을 통한 뼈 재생 효과를 확인하고 논문에 실었다.
티앤알바이오팹 관계자는 "이 임상엔 환자맞춤형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뿐 아니라 자가 조직 재생을 유도하는 조직공학 및 재생의학 기술까지 적용했다"며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caprolactone)과 뼈 재생을 유도하는 제삼인산칼슘(TCP, Tricalcium phosphate) 세라믹 소재가 혼합된 생체소재를 적용해 체내 이식된 인공지지체는 서서히 생분해되고 환자 자신의 연조직 또는 뼈로 대체되도록 한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티앤알바이오팹 기술은 환자맞춤형 3D 바이오프린팅을 통해 외형적 정확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 자가조직 재생까지 유도할 수 있어 성형 재건 분야 기술을 한 단계 끌어올렸단 평가를 받는다.
티앤알바이오팹과 최종우 교수팀은 산업부가 지원하는 '3D 프린팅 의료기기 산업기술 실증사업' 정부 연구과제를 통해 2019년부터 현재까지 해당 연구에서 협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의료 분야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윤원수 티앤알바이오팹 대표는 "2014년 국내 인허가를 시작으로 적용한 3D 프린팅 인공지지체 기술이 점차 고도화되면서 이제 의료현장에서 안전성을 넘어 유효성까지 검증되고 있다"며 "국내 임상을 통한 검증 결과를 도태로 향후 글로벌 파트너와 협업을 추진하고 해외 시장 진출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