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10대 소비도시는 상하이, 베이징, 충칭, 광저우, 선전, 청두, 수저우, 난징, 우한 및 항저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저우가 새로 1조위안 클럽에 진입하며 상하이, 베이징, 충칭, 광저우 등 4개 도시의 사회소비금액이 1조위안(약 185조원)을 돌파했다.
소비측면에서 가장 돋보이는 도시는 역시 중국 경제수도인 상하이다. 지난해 상하이 사회소비금액은 전년 대비 13.5% 증가한 1조8079억 위안(약 334조원)에 달했다. 상품별로 보면 일용품 소비가 24.7% 증가했으며 문화용품, 귀금속 및 화장품 소비금액이 각각 40.1%, 30.3%, 15.7% 늘어나는 등 소비가 업그레이드되는 추세가 분명했다.

중국 중부 내륙도시인 충칭이 3위를 기록했는데, 충칭은 다른 대도시와 달리 면적이 8만2400km2(한국면적의 약 80%)에 달하는 초대형 도시다. 인구 역시 3200만명이 넘는다. 지난해 충칭 사회소비금액은 1조3968억 위안(약 258조원)을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18.5% 증가하는 등 중국 10대 소비도시 중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또한 중국 광둥성(省) 수도인 광저우가 1조123억 위안(약 187조원)을 기록하며 1조위안 클럽에 신규 진입했다. 광저우는 중국 남방지역의 오래된 상업도시로서 각종 도매시장과 요식업이 발달해 있는 곳이다.
텐센트, 화웨이, BYD 등 최근 뜨는 중국 기업들이 밀집한 선전은 9498억 위안(약 176조원)으로 5위를 기록했는데, 올해 1조위안 클럽에 가입할 가능성이 커보인다.
한편 중국 10대 소비도시 중 7개 도시가 동남연해 지역에 위치하는 등 동남연해 지역과 서부 내륙 지역의 경제 격차가 크다는 사실이 여실히 드러났다. 7개 도시 중 4개(상하이, 수저우, 난징, 항저우)는 상하이와 절강·장수성 주변의 장강삼각주, 2개(광저우, 선전)는 광둥성의 주강삼각주, 1개는 베이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