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개기 상장' 논란에 고민깊은 카카오, 모빌리티·엔터 어디로?

머니투데이 이동우 기자 2022.02.17 06:04
글자크기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오피스의 모습. / 사진=뉴스1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오피스의 모습. / 사진=뉴스1


기업이 물적분할 후 자회사를 상장하는 일명 '쪼개기 상장'에 대한 반발 여론이 커지며 카카오 (45,450원 ▼350 -0.76%)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계열사 기업공개(IPO)로 사업의 활로를 찾아야 하는 것은 물론 기존 주주가치도 제고해야 하는 고차방정식이 카카오 앞에 놓였다.

17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정치권과 금융당국은 쪼개기 상장과 관련 이를 규제하고 소액주주를 보호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일부 대선주자들은 주식매수청구권이나 신주인수권 부여 공약도 내건 상태다.



쪼개기 상장이 대선 의제로 떠오르게된 대표적 사례로 LG화학 (394,000원 ▲11,000 +2.87%)LG에너지솔루션 (362,000원 ▼2,000 -0.55%) 상장과 지난해 카카오의 페이·뱅크 상장이 거론된다. 알짜 사업을 떼어낸 탓에 기존 소액주주들이 주가 하락에 따른 피해를 봤다는 불만이 제기되면서다.

쪼개기 상장 아닌데...곱지않은 시선
카카오 측은 쪼개기 상장이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외부 시선은 곱지 않다. 카카오 설명이 틀린 것만은 아니다. 대부분 매출이 없는 초기 단계 사업을 신규 법인 설립을 통해 육성하거나 인수한 사업을 성장시켰기 때문에 '쪼개기'가 아니라고 것이다.



배재현 카카오 최고재무책임자(CIO)는 지난 11일 자사 계열사 IPO를 두고 "카카오의 자회사 상장은 공동체의 성장과 동반해 카카오의 주주 가치를 크게 증대시켰다"며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쪼개기 상장 이슈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런 설명에도 불구하고 카카오는 쪼개기·먹튀 논란을 의식한 듯 계열사 상장 일정을 잠정 중단한 상태다. 핵심 신사업을 카카오톡의 네트워크 효과를 바탕으로 키워낸 만큼 본질적으로 쪼개기와 차이가 없다는 인식이 팽배해서다.

카카오모빌리티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올해 상장한다는 계획이었지만, 전면 재검토 상태다. 해외 사업이 주력인 카카오픽코마만 오는 12월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이 예고돼 있다.


카카오 모빌리티는 연내 상장할까..모회사 디스카운트 될수도 고심
그러나 업계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만큼은 연내 상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 2017년 사모펀드 TPG컨소시엄이 카카오모빌리티에 5000억원을 투자할 당시 상장 시점을 2022년으로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막연히 상장을 미루기에는 재무적투자자(FI)와의 이해관계를 풀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TPG컨소시엄은 지난해 6월 1307억원을 추가 투자했다.

일각에서는 카카오가 본사 차원에서 투자금을 되돌려주고 지분을 회수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관측이 나오지만, 수천억원에 달하는 비용으로 현실성은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국내 첫 모빌리티 플랫폼 상장사 타이틀을 두고 경쟁 중인 '쏘카'가 지난달 상장예비심사청구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것도 카카오모빌리티로서는 신경 쓰이는 부분이다.

이 같은 계열사 상장은 모회사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카카오 내부의 고심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는 최근 주주가치 회복을 위한 다양한 조치를 시행 중이다. 남궁훈 카카오 신임대표 내정자는 카카오 주가가 15만원선으로 회복될 때까지 최저임금만 받겠다고 선언하고, 현금 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 방침도 밝힌 상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의 계열사 상장을 쪼개기 상장으로 보는 시장의 인식을 바꾸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상장에 앞서 사회적인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카카오가 더 부단한 노력을 해나가야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