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우조선 살릴 방법 찾아라"…조선 밑그림 다시 그린다

머니투데이 세종=김훈남 기자 2022.02.15 17:55
글자크기
[단독] "대우조선 살릴 방법 찾아라"…조선 밑그림 다시 그린다


현대중공업 (132,600원 ▲2,200 +1.69%)대우조선해양 (32,250원 ▲800 +2.54%)의 M&A(인수합병)가 무산된 가운데 정부가 대우조선해양 회생 방안을 포함한 국내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수립에 착수했다.

앞서 정부와 KDB산업은행은 2019년부터 대우조선해양 경영 정상화를 위해 현대중공업과의 통합을 추진했지만 유럽 경쟁당국의 반대로 무산됐다. 정부는 2019년 이후 친환경 규제를 포함한 조선산업 환경 변화를 점검하고 지원 정책 발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5일 관련 부처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달 초 '조선산업 시장분석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하고 이날까지 입찰 신청을 받았다. 연구기간은 계약체결일로부터 4개월 간이다.

산업부 측은 연구용역 제안요청서에서 "2019년 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은 대우조선해양의 경영 정상화와 국내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대중공업과의 기업결합을 추진하기로 했으나 지난달 13일 EU(유럽연합) 경쟁당국의 기업결합 불승인 결정에 따라 기업결합이 어렵게 됐다"며 "이에 조선산업을 둘러싼 최근의 환경변화를 진단하고 국내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산업부는 이번 용역을 통해 △2017~2019년초 대비 조선산업 환경변화 진단 및 분석 △국내 조선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래 비전 정책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를 맡길 방침이다. 이를 통해 중국과 일본, 유럽 주요국의 조선산업 구조 개편과 경과, 동향, 각국의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정책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 특정 회사에 대한 지원 정책이나 구체적인 정책 발표을 염두에 둔 것은 아니다"라면서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을 연구하는 시점에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 결합이 무산돼 연구용역 제안요청서에 내용을 담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현대중공업으로의 M&A가 무산되면서 정부의 대우조선해양 경영 정상화 구상에는 제동이 걸렸다. 대우조선해양의 최대주주인 산은은 현대중공업과의 기업결합을 통한 '메가 조선사' 출범으로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한다는 복안이었다.


하지만 유럽 경쟁당국은 두 회사의 결합 시 LNG(액화천연가스) 선박 등 친환경 선박 시장의 70%를 점유하는 것을 문제 삼아 결합 불허 결정을 내렸고, 대우조선해양의 경영 정상화 계획도 2019년 이전으로 돌아갔다. 정부와 산은 등은 유럽 경쟁당국의 결정 직후 직후 "M&A 무산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최근 조선산업 여건 개선을 활용해 대우조선해양을 정상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동걸 산은 회장은 지난달 온라인 기자 간담회에서 "대우조선해양의 새 주인 찾기 등 플랜B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EU의 반대로 조선사에 매각하는 길은 막혔지만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경영 컨설팅 경과를 토대로 다양한 매각 시나리오를 짜겠다는 얘기다. 이동걸 회장은 또 "(적자가 나기 쉬운) 원가율이 90~100% 이상인 계약건에 대해선 RG(선수금 환급보증) 발급을 안 해주면 어떨까 생각한다"며 무분별한 저가 수주에 대한 보증 지원을 줄여야 한다는 입장도 내놨다.

HD현대중공업 차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