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공유자전거·택시 잇는다..."시민 중심 통합서비스 필요"

머니투데이 이동우 기자 2022.02.15 06:03
글자크기

K-환승부터 MaaS까지, 서울 교통혁신-②

 오후 서울 시내의 카카오T 택시. /사진=뉴스1  오후 서울 시내의 카카오T 택시. /사진=뉴스1


지난해 여름 카카오모빌리티의 전격적인 '스마트호출' 요금 인상 시도가 한국 사회에 안긴 충격파는 상당했다. '이동의 편리함'을 추구한다는 모빌리티 혁신이 언젠가는 막대한 비용을 수반한 '이동의 족쇄'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상징적 장면이었다.

최근 몇 년간 모빌리티 산업이 2조원 규모까지 급성장했음에도 모빌리티 혁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카카오는 물론 우티와 타다 등 대부분 모빌리티 기업들이 접근성이 높은 택시에 집중해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서울과 수도권 등지에서는 여전히 저녁시간대 '택시 대란'이 반복된다.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가 지속되다 보니, 정작 승객이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것이다. 킥보드·전기자전거 같은 PM(개인형 이동수단)과 카셰어링도 예외가 아니다. 특정 밀집지역에서는 서비스가 난립하는 반면 외곽에서는 이용조차 어렵다. 모빌리티 업계 한 관계자는 "여전히 모빌리티의 유기적 연결은 부족한 상황"이라며 "시민 중심의 통합 서비스가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독일·미국에선 앱 하나로 공공-민간 모빌리티 아울러
지하철·공유자전거·택시 잇는다..."시민 중심 통합서비스 필요"
이에 해외에서는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모빌리티 서비스를 통합하는 시도가 한창이다. 막무가내로 택시를 늘리기보다는 대중교통 인프라를 확충하고, 각 교통 데이터와 결제 시스템을 통합해 시민 중심의 MaaS(Mobility as a Service·서비스형 모빌리티)를 구축하는 것이다.



독일 베를린교통공사가 플랫폼사 'Trafi'와 손잡고 2019년 출시한 'Jelbi'가 대표적이다. 베를린의 대중교통과 민간 모빌리티 서비스를 하나의 앱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트램과 지하철, 택시는 물론이고 스쿠터, 자전거, 카셰어링 등을 아우른다. 앱 하나로 실시간 이동계획을 모두 세울 수 있다.

지난해 미국 피츠버그에서 출시된 'MOVE PGH' 서비스 역시 'Jelbi'와 마찬가지로 대중교통과 민간 모빌리티 서비스의 통합 예약·결제 시스템이다. 역이나 정류장 인근 스쿠터, 킥보드를 세워두는 모빌리티 허브로 자연스러운 환승을 유도한다. 다만 두 앱은 통합 요금제나 별도의 환승연계 할인은 없다는 게 한계다.

이보다 한발 더 나아간 모델이 핀란드 헬싱키에서 운영 중인 'Whim' 서비스다. 월 정액 요금으로 헬싱키의 모든 대중교통과 민간 모빌리티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무제한 요금이 699유로(한화 약 94만원)로 비싸 아직 이용률이 높지는 않지만 세계 최초로 공공-민간 통합 구독 요금제를 선보인 MaaS로 평가된다.


MaaS 노하우 확보한 서울…업계 "대중교통 역할 필수적"
서울역 지하철 개찰구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사진=뉴스1서울역 지하철 개찰구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사진=뉴스1
전문가들은 서울의 경우 택시를 포함한 대중교통 분담률이 70%에 달해 이같은 MaaS 구현에 최적이라는 평가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서울은 대중교통 환승할인제도,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을 이미 도입해 MaaS의 기본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다. 다른 도시에 견줘 대중교통 인프라도 월등하다.

현재 서울시는 따릉이와 시외·고속버스, 온다(onda) 택시 등 공공 중심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여기에 민간 모빌리티 서비스가 결합되면 더 많은 시민들이 높은 수준의 '이동 경험'을 누릴 수 있다는 평가다. 실제 모빌리티 업계에서도 서울형 MaaS를 구현하려면 시민들이 저렴하고 편리하게 이용하는 공공서비스인 대중교통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또다른 모빌리티 업계 관계자는 "베를린, 피츠버그와 같이 교통당국의 협력과 인센티브가 뒷받침 돼야 통합 MaaS가 구현될 수 있다"며 "그렇지 않으면 시민들의 활발한 이용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