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일 오전 서울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 탑승한 서울시 '자율주행자동차'는 승객에게 자신을 이렇게 소개했다. 자율차의 운전 실력은 사람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특히 '안전'에 초점을 맞춰 운행을 하는 모습이었다. 도로 법규를 철저히 지키고, 끼어들기나 앞지르기 등을 하지 않았다. 차량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로 탑승객도 자율차가 사람, 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등을 인식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안전 준수'하며 운전…시속 50km 유지이날 오전 머니투데이 취재진은 자율차 이용을 위해 서울 자율주행 전용 앱(TAP!)을 다운로드 받았다. 휴대폰이나 이메일로 본인인증을 하고 본인명의의 카드를 등록하자 탑승지점과 하차지점을 선택해 자율차를 부를 수 있었다.
취재진이 탑승한 노선은 상암A01노선(DMC역~에스플렉스센터~서부면허시험장~상암월드컵파크~7단지·5단지~상암파출소~DMC역)이었다. 에스플렉스센터에서 DMC역까지 약 16분 정도 탑승을 했다. 상암A02노선은 DMC역~휴먼시아아파트~누리꿈스퀘어~DMC첨단산업센터~DMC역을 순환한다.
자율차는 웬만한 운전자들보다 안전을 준수하며 운전을 했다. 서울 도심 일반 도로 기준인 시속 50km를 유지하며 달렸고, 사람이나 오토바이 등 장애물을 미리 인지한 뒤 시간을 두고 멈춰 섰다. 또 신호를 철저히 지키고, 차선 변경도 미리 해뒀다. 자율차 내부에는 운전석과 뒷자리 두 좌석에 모니터가 설치돼 화면을 통해 이런 과정을 다 볼 수 있었다.
보수적으로 운전을 하다 보니 다른 차량들에 비해 운행속도가 늦어지기도 했다. 이 때문에 뒤에서 운전을 하던 승용차가 몇 번 경적을 울렸다. 전반적으로 조금 답답하긴 했지만 안정감이 느껴지는 운행이었다.
돌발 상황 대비 위해 '세이프 드라이버' 동행

세이프 드라이버는 "(자율차는) 앞차를 추월하려고 하는 등의 시도는 하지 않는다"라며 "주행 경로를 막고 있는 차량이 있으면 피해서 운전을 하도록 설계돼 있다"고 설명했다. 급제동이나 급가속도 없었다.
서울시와 함께 서비스를 개발한 스타트업 포티투닷은 "운전사가 핸들을 잡는 것뿐만 아니라 승객들의 건강 상태, 물건 분실 등을 체크해준다"며 "현재 기술로는 해결되지 않는 부분까지 수행하기 때문에 세이프 드라이버라 부르고 있다"고 밝혔다.
시민들 '저렴한 요금'에 관심…"노선 확대됐으면"

상암동에서 버스를 기다리던 시민 이모씨(43)는 "택시 승차 구역이 떨어져 있어 아쉽다"며 "방식이 앱으로 부르면 오는 택시와 유사해 보이는데 집과 직장 근처에 운행을 하는 자율차가 있다면 이용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외부 위원으로 구성된 자율주행차 시범지구 운영위원회에서 3000원 이하로 요금이 정해졌다"며 "이에 업체들과 협의해 초기에는 많은 시민들이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게 하자는 목적에서 1000원을 낮췄다"고 설명했다. 처음 탑승 시엔 무료로 이용할 수도 있다.
서울시는 승용차형 자율차에 이어 DMC역~공원 지역을 순환하는 자율주행버스도 이르면 3월 운행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또 올 연말까지 상암동에 총 12대까지 자율차 유상운송을 확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