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뜰폰 고객만족도 1위, 리브엠 가입자 폭증 이유 보니

이는 KB국민은행이 지난해 9월 아이폰13 출시 시점에 맞춰 은행 거래실적과 카드 결제 계좌 유지 등 조건으로 파격적인 할인혜택을 내세운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당시 리브엠은 LTE든든무제한11GB+ 요금제를 최저 월 2900원에 프로모션해 가입자를 대거 끌어들였다. 요금제 출시 기념 이벤트 할인에 더해 KB국민은행 거래실적에 따라 최대 월 3300원을 더 깎아주고, KB국민카드로 통신비 자동납부를 신청하면 기존 3만3000원짜리 요금제를 월 2900원에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현재 월 11GB 데이터에 소진 시 하루 2GB, 속도 제한 3Mbps를 제공하는 해당 요금제는 최대 할인 시 2만4800원에 판매되고 있다.

단말기유통법은 휴대폰 대리점에 요금제 가입을 조건으로 공시지원금의 15%가 넘는 추가 지원금을 지급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처럼 특정 알뜰폰 통신사의 요금제에 묶인 자급제폰은 과연 자급제폰으로 볼 수 있느냐가 논란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자급제 단말기 유통에 관해서는 이용자 차별행위나 불법보조금 금지에 대한 규정이 없어 알뜰폰이 단통법 규제의 회색지대가 될 수 있다"며 "타사 가입자 유치 시 불법 보조금을 지급하기가 훨씬 쉬운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나친 경품 살포도 문제가 되고 있다. 24개월 가량 약정이 있는 이동통신과 달리 알뜰폰은 약정 기간이 없어서 번호이동이 쉽기 때문에 소비자가 각종 혜택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서비스 경쟁이 아닌, 자본력을 앞세운 마케팅 경쟁으로 번지기 쉬운 이유다. 지난해 초 방송통신위원회는 알뜰폰 사업자에게 3만원 이상 사은품 지급을 지양하라고 구두 경고한 바 있다. 그러나 이후에도 시장에서 단말기 등 고가 사은품과 현금 등이 수시로 등장했다.
규제책 고심하는 정부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통위는 알뜰폰에 대한 규제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통신3사 자회사 및 대기업의 자본력을 바탕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해 온 알뜰폰 시장이 이제는 내실을 다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와서다. 과기정통부는 일단 통신3사를 비롯한 이해당사자들과 알뜰폰 자회사들의 합산 점유율을 지금보다 더 제한하는 내용의 산정 방식 변경 등을 논의 중이다. 다만 이 경우 대기업의 자본력을 가진 리브엠만 반사효과를 누리거나, 알뜰폰 시장이 자칫 침체될 수 있어 조심스러운 상황이다. 방통위는 자급제와 통신사향 단말기 유형을 구체화하는 것을 놓고 사업자와 논의에 들어갔다.
알뜰폰 업계 역시 월 1회 정기적으로 경품 과다 사례에 대한 시장 모니터링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통3사 알뜰폰 자회사와 인스코비, 아이즈비전, 세종텔레콤, 큰사람 등 중소사업자들도 참여한다. 지난 7일 킥오프 회의를 연 이후 매달 둘째주 목요일에 회의를 가지기로 했다. 이 회의에 참여한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강제력이 없는 자율 규제 차원이지만 (모니터링 결과를) 방통위에 공유하고, 업계 경쟁관계인 서로가 서로가 모니터링하는 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며 "구체적인 모니터링 방법 등을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