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FTA협상하는 걸프국가들에 "우리기업 의견 잘 수렴해달라"

머니투데이 리야드(사우디아라비아)=정진우 기자 2022.01.19 18:09
글자크기

[the300][중동 순방]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리야드=뉴시스] 김진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영빈관 접견실에서 나예프 알하즈라프 걸프협력회의(GCC) 사무총장을 접견,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2.01.19.[리야드=뉴시스] 김진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영빈관 접견실에서 나예프 알하즈라프 걸프협력회의(GCC) 사무총장을 접견,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2.01.19.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오전 수도 리야드에서 나예프 알 하즈라프 걸프협력회의(GCC, Gulf Cooperation Council) 사무총장을 접견하고 협력 강화 방안과 FTA 협상 재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서면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은 이날 나예프 총장과 접견에서 한국이 전체 원유수입량의 61%를 GCC 회원국으로부터 공급받고 있고 GCC의 주요 인프라 건설에는 한국의 우수한 건설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며 "한국과 GCC 각국은 상호 보완적인 경제구조를 갖고 호혜적 동반자 관계를 통해 경제 발전과 공동 번영을 이뤄왔다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GCC는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오만, 바레인 6개국의 지역협력기구로 회원국 간 경제·안보 협력 활동을 수행하는 곳이다.

나예프 GCC 사무총장은 "문 대통령이 찾아주신 사우디는 지금 아주 아름다운 날씨인데 이는 양국 간 협력을 잘 보여주는 배경이라고 생각한다"며 "양측은 2014년에 체결된 '한-GCC 전략협력 양해각서'(MOU)와 2020년의 공동행동계획을 기반으로 경제, 문화, 과학, 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양측의 협력은 이제 보건·의료, 과학·기술, 국방·안보, ICT와 지재권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며 "양측 간 FTA가 체결되면 제조업 분야에서 호혜적 협력이 더 강화될 것이다. 서비스, 지재권, 에너지·기술·환경 협력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간 혜택과 이익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리야드=뉴시스] 김진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영빈관 접견실에서 나예프 알하즈라프 걸프협력회의(GCC) 사무총장을 접견하고 있다. 2022.01.19.[리야드=뉴시스] 김진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영빈관 접견실에서 나예프 알하즈라프 걸프협력회의(GCC) 사무총장을 접견하고 있다. 2022.01.19.
나예프 총장은 "양측 간의 정책 협의도 진행하고 통상교섭본부장과 미리 한-GCC FTA 협상 대비를 위한 이야기를 나눴다"며 "향후 6개월간의 일정으로 FTA 협상에 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양측의 의지와 희망이 잘 발현이 돼서 호혜적인 협상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문 대통령은 "FTA가 체결되기 전에라도 양측 간 공정한 무역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길 바란다"며 "특히 반덤핑과 세이프가드 등 무역구제 조치 시행 시 국제규범에 기반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절차에 따라 진행하고 우리 기업과 업계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달라"고 당부했다.

나예프 총장은 "조만간 방한을 계획하고 있다"며 "한국과 GCC 간 특별 양자 관계는 앞으로도 상호 호혜적인 이익을 추구하면서 공동 협력을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예프 총장은 또 "한국 기업인들이 GCC와 함께 투자 분야 전략 대화채널을 만들 수 있기를 희망한다"며 "양측이 번갈아 대화를 개최함으로써 양측 간의 협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문 대통령과 나예프 사무총장은 이밖에도 중동 지역 정세 및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