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아래 '백신 독립국' 아시나요? 저소득국 희망 된 '쿠바 백신'

머니투데이 박가영 기자 2022.01.15 05:53
글자크기
중남미 의료 강국 쿠바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다. 쿠바가 개발한 5종의 코로나19 백신이 저소득국가는 물론 전 세계에서 '엄청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라는 평가다.

쿠바 등 중앙아메리카 지역 국가들. /사진=구글지도쿠바 등 중앙아메리카 지역 국가들. /사진=구글지도


외국산 백신 수입 안 한 쿠바…접종률 86%
14일 CNBC에 따르면 쿠바는 이날 기준 전체 인구 1100만여명 가운데 86%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했다. 3차 접종을 마친 사람도 300만명이 넘는다.



쿠바는 외국 백신을 단 1개도 구매하지 않은 채 자체 개발 백신으로만 접종 캠페인을 진행했다. 캐나다 댈하우지대학 라틴아메리카 전공 존 커크 교수는"이 작은 나라가 자체 백산을 생산하고 그 백신을 90% 가까운 인구에 접종한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라고 평했다.

쿠바 자체 개발 백신 압달라를 접종받는 시민/사진=AFP쿠바 자체 개발 백신 압달라를 접종받는 시민/사진=AFP
쿠바는 1980년대부터 자체 백신 개발에 힘써왔다. 미국의 경제 제재로 인해 의약품 확보가 어려워지자 연구·개발 역량을 스스로 키워온 것이다. 세계 최초로 뇌수막염B 백신을 개발했으며 현재는 자국민 접종에 필요한 백신 80%를 자체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팬데믹 상황에서도 다른 중남미 국가들이 백신 확보에 열을 올리는 동안 쿠바는 자국산 백신 개발에 집중했다. 그 결과 압달라·소베라나02·소베라나 플러스 등 5종의 코로나19 백신을 만들어냈다. 이 백신들은 임상시험에서 예방 효과가 세계보건기구(WHO)가 요구하는 기준(50%)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는데, 아직 국제적인 과학자들의 동료 평가는 이뤄지지 않았다.

보건 의료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고, 이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높아 접종 속도도 빨랐다. 각 지역사회 내에는 진료소가 촘촘하게 배치돼 있으며, 가정의와 간호사가 상주한다. CNBC는 이러한 의료 체계가 시골 지역까지 신속하게 백신을 전달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전했다.

쿠바 자체 개발 백신, 어떻길래?
쿠바의 코로나19 백신이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는 재조합 단백질(항원 합성) 기술을 이용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이는 소아 B형 간염, 백일해 등 백신에 수십 년간 사용돼온 기술로, 다른 방식 기반 백신들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 유럽연합(EU)에서 긴급사용을 승인받은 미국 제약사 노바백스의 코로나19 백신도 재조합 단백질 기반 백신이다.


자체 개발 코로나19 백신 소르베나 02 접종을 준비 중인 의료진/사진=AFP자체 개발 코로나19 백신 소르베나 02 접종을 준비 중인 의료진/사진=AFP
재조합 단백질 기반 백신은 가격이 저렴한 데다 보관도 용이하다. 영하 20~70도에서 유통해야 하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반 화이자·모더나 백신과 달리 일반 냉장고 수준인 2~8도에서도 보관이 가능하다. 그동안 저소득국은 냉동 시설이 충분하지 않아 어렵게 확보한 백신조차 폐기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유니세프에 따르면 저소득국들은 보관 시설 부족을 이유로 지난달에만 코백스(COVAX)가 배포하는 백신 1억회분 이상을 거부했다.

아울러 쿠바 정부가 자체 개발 백신의 지식재산권을 저소득국들과 공유할 방침이다. 코로나19 백신의 불평등 문제가 불거지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백신 특허 등 지재권 보호를 유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백신 제조사들은 이를 쉽게 포기하지 않고 있다. 이유는 막대한 수익 때문이다. 커크 교수는 "쿠바의 목표는 돈을 버는 게 아니라 지구를 건강하게 만드는 것"이라며 "최소한의 이윤을 붙여 공급한다는 계획이며, 일부 다국적 제약사처럼 터무니없는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쿠바의 백신이 저소득국에만 희망을 주는 것은 아니다. 저소득국의 접종률이 높아지면, 백신 불평등으로 인해 새로운 변이가 등장하고 팬데믹이 계속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어 전 지구적 이익이 된다. 영국 글래스고대의 헬렌 야페 교수는 "쿠바의 자체 개발 백신의 의미는 엄청나다.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며 "오미크론의 탄생에서 알 수 있듯이 백신 접종률이 높지 않은 국가에서 변이가 발생해 선진 자본주의 국가로 유입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쿠바의 백신들이 아직 WHO의 승인을 받지 않았다는 것이다. 쿠바 백신 개발을 주도하는 국영 핀라이 백신연구소는 올해 1분기에 긴급사용 승인에 필요한 문서를 WHO에 제출할 예정이다. CNBC는 "WHO의 승인이 전 세계에서 쿠바 백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첫 단계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