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2020년 8·4 대책에서 용산정비창 부지에 공공주택 1만 가구 공급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오 시장은 10여 년 전에 계획한 국제업무지구 기능에 개발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는 지난해 보궐선거 기간 용산 국제업무지구 프로젝트 부활을 예고하며 "아시아의 실리콘밸리로 부상시키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용산구도 국제업무지구 조성 계획에 찬성한다. 그러나 일부 시민단체들은 해당 부지에 100% 공공주택 공급을 주장하고 있어 찬반 논쟁이 예상된다.

세운지구는 과거 오 시장이 재임한 2006년 재정비 계획이 수립됐다. 2009년에는 세운상가를 철거해 공원과 녹지를 조성하고 일대를 8개 구역으로 통합개발하는 방안이 결정됐다. 하지만 박원순 전 시장이 부임한 2011년 이 계획은 전면 취소됐다. 세운상가를 존치해 공중보행로를 짓고, 재개발 구역은 171개 중소형 사업지로 쪼개졌다. 현재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사업 시행자로 참여한 4구역만 통합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 기간 일부 지역은 재개발이 진행돼 예전처럼 구역별 통합개발은 불가능하다. 세운상가도 약 1000억원을 투입한 공중보행로와 연결돼 당장 철거가 쉽지 않고, 일부 건물은 이미 역사도심 상업지역 용적률 상한(600%)를 넘어 재개발 여건이 녹록치 않다.
그래도 오 시장이 "반드시 정비계획을 새로 세우겠다"고 선언한 만큼 현행 보존 위주의 도시계획은 폐지 수순을 밟을 전망이다. 최초 구상한 8개 권역 통합개발 형태는 아니지만 남아있는 부지를 가급적 합쳐 사업성을 높이는 방안이 유력하다. 종묘 경관 보호를 위해 층고 제한을 강화한 규제도 재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 시장이 녹지축을 언급했다는 점에서 지구 중심부에 위치한 세운상가 등 노후 상가 존치 문제도 중장기 개발 과제로 추진할 여지가 남아 있다. 다만 이는 상권 이전 문제와 연계된 만큼 신중하게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강변 층고 제한을 비롯해 시내 권역별 개발 방향을 담은 최상위 도시계획인 '2040 서울플랜'은 이와 별개로 발표될 예정이다. 시는 2040 서울플랜 초안을 지난해 오 시장에게 보고했지만 4차 산업혁명, 포스트 코로나 등 시대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반려돼 보완 작업을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새롭게 바뀐 2040 서울플랜을 최대한 신속하게 발표할 수 있게 내부 조율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